Eclipse of Perceptions, Kia Milan Exhibition 2025
Eclipse of Perceptions, Kia Milan Exhibition 2025
Boiling Pot
Boiling Pot에는 기아 디자인 크리에이티브 철학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가 뜻하는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을 바탕으로 정립된 문화적 특징들이 용광로 속 한 데 어우러져 녹아든 것과 같은, 정제되고 순도 높은 문화의 스토리를 다루고 있습니다. ‘공간’, ‘환경’, ‘예술’ 등의 사회·문화적 현상을 OU 관점에서 조명하여, 크리에이티브 철학을 새롭게 통찰할 수 있습니다.
Boiling Pot
Boiling Pot features stories of refined and pure cultures, such as the creative fusion of opposites, which is what Kia Design’s creative philosophy ‘Opposites United’ means, where established cultural features are melted together in a furnace.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such as ‘space’, ‘environment’, and ‘art’ are illuminated from the OU perspective, providing new insights into creative philosophy.

디자인은 때때로 질문을 던지는 언어입니다. 우리가 익숙하게 받아들이던 것들을 낯설게 비추고, 당연하게 믿어온 생각의 틀을 흔들어 놓습니다. 세상을 바라보던 익숙한 방식에서 벗어날 때, 우리는 비로소 새로운 시선을 갖게 됩니다. 2025년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선보인 《Eclipse of Perceptions》 전시는 이런 전환의 순간을 섬세하게 그려냅니다. 시각에 의존해온 기존의 인식 방식을 의도적으로 흐트러뜨리고, 사물과 정보, 기능과 의미의 관계를 다시 짚어보게 합니다. 이 전시는 무엇을 보느냐보다, 그 너머를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느냐에 주목합니다. 익숙한 구조는 일시적으로 멈추고, 그 틈에서 관람자는 뜻밖의 조우를 경험하게 됩니다. 서로 반대에 서 있던 빛과 어둠, 기술과 자연, 정적과 움직임이 한 공간 안에서 겹쳐지며, 고정된 시선이 유연해지는 순간이 찾아오는 것이죠. 《기아 디자인 매거진》 VOL15 ‘Boiling Pot’에서는 《Eclipse of Perceptions》가 만들어낸 그 낯선 틈, 그 안에서 열린 새로운 ‘보기’를 따라가 봅니다.
Design is, at times, a language of questions. It casts a strange light on what we thought we knew, and unsettles the frameworks we once took for granted. Only when we step outside familiar ways of seeing do we begin to discover new perspectives. At Milan Design Week 2025, the exhibition Eclipse of Perceptions captured precisely this moment of shift. It deliberately disrupted our reliance on sight, prompting us to reconsider the relationships between objects and information, function and meaning. Here, the focus was not on what we see, but on how we understand and receive what lies beyond it. In that pause where familiar structures falter, the audience encounters the unexpected. Light and shadow, technology and nature, stillness and motion overlap within a single space, and rigid ways of seeing begin to loosen. In Kia Design Magazine VOL.15 “Boiling Pot”, we follow the unfamiliar gap opened by Eclipse of Perceptions has opened, and the new ways of seeing that emerge within it.

- Marquee
- The Cave
- Beyond the Horizon
- Theater of Opposites United:
Kia Design의 ‘The Eclipse’
- Marquee
- The Cave
- Beyond the Horizon
- Theater of Opposites United:
Kia Design의 ‘The Eclipse’
Briefing
밀라노에서 만나는 기아의 창의적 대화
Briefing
A Creative Conversation with Kia in Milan
기아는 왜 밀라노를 찾고, 문화와 예술을 이야기할까요? 해를 거듭하며 그 이유는 분명해지고 있습니다. 기아에게 디자인은 단순한 외형이 아니라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자 문화를 만들어가는 힘입니다. 이를 가장 직관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무대가 바로 전 세계 창의적 에너지가 모이는 밀라노 디자인 위크, 그중에서도 도시 전체를 전시장으로 만드는 푸오리살로네Fuorisalone*입니다.
기아의 디자인 철학 ‘Opposites United(상반된 것의 조화)’는 빛과 그림자, 혁신과 전통, 속도와 여유처럼 서로 다른 요소가 만나 새로운 시각을 만드는 창조의 토대입니다. 2023년 첫 전시에서는 기아 디자인이 직접 이 철학을 해석한 아트워크를 선보이며 관객과의 대화를 시작했습니다. 2024년에는 기아가 작품을 담는 ‘그릇’이 되어, 다양한 아티스트의 시선과 해석을 소개했습니다. 이를 통해 아티스트와 관객, 관객과 기아, 기아와 아티스트 사이의 교차점을 만들어냈습니다.
세 번째를 맞이한 2025년 전시의 주제는 아티스트와 기아 디자인, 관객이 정렬Alignment되는 순간을 이야기합니다. 전시의 주제는 ‘The Eclipse(일식)’으로 해·달·지구가 나란히 정렬되는 그 순간처럼, 창의성이 혼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시선과 생각이 맞물릴 때 더욱 깊어진다는 믿음을 표현했습니다.
기아의 밀라노 전시는 문화적 실험이자, 함께 보고 느끼고 참여하는 집단적 경험입니다. 매년 전시를 이어가는 이유는 단 하나, 문화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모두와 함께 방향을 만들어가기 위해서입니다. 2025년의 기아는, 창의성이 모이는 그 한 점에서 세계와 다시 대화를 시작합니다.
Why does Kia come to Milan, and why does it choose to speak through culture and art? With each passing year, the answer becomes clearer. For Kia, design is not merely about form; it is a way of seeing the world and a force that shapes culture. And there is no stage more fitting to express this vision than Milan Design Week especially Fuorisalone, where the city itself transforms into an open gallery of creative energy.
Kia’s design philosophy, Opposites United, is built on the idea that creativity emerges when contrasting elements—light and shadow, innovation and tradition, speed and stillness meet to form new perspectives. In 2023, Kia introduced this philosophy through its own art installation, opening a dialogue with the audience. In 2024, Kia became a vessel for others, presenting diverse interpretations by artists and creating intersections between artist and audience, audience and Kia, and Kia and the artist.
The third chapter in 2025 focuses on alignment moments when artists, Kia Design, and the audience come into line with one another. The exhibition theme, The Eclipse, captures this belief: just as the sun, moon, and earth align to create a rare moment of wonder, creativity too deepens when perspectives and ideas converge.
Kia’s Milan exhibition is less a showcase than a cultural experiment an invitation to see, feel, and participate in a collective experience. The reason for returning each year is simple: not to dictate culture, but to shape its direction together. In 2025, Kia once again begins a conversation with the world at the very point where creativity meets.
*밀라노 디자인 위크 기간 동안 시내 곳곳에서 열리는 전시·이벤트로, 주요 가구박람회 ‘살로네 델 모빌레’와 함께 도시 전체를 디자인 축제로 만드는 프로그램
*Fuorisalone: A city-wide program of exhibitions and events during Milan Design Week, held in tandem with the Salone del Mobile furniture fair, transforming Milan into a festival of design.

Prologue
《Eclipse of Perceptions》
Prologue
《Eclipse of Perceptions》
기아는 올해로 세 번째, 2025년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Eclipse of Perceptions》을 개최했습니다. 태양과 달이 잠시 겹쳐지는 일식처럼, 빛과 어둠, 정적과 움직임, 기술과 감성, 자연과 인공이 한 공간에서 교차할 때 우리는 익숙한 인식을 내려놓고 낯선 아름다움과 마주하게 되는 모습을 담았습니다. 이번 전시는 바로 그 ‘식(蝕)의 순간’을 이야기합니다.
‘Eclipse’는 감각의 일시적인 차단을, ‘Perceptions’는 새로운 인식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익숙한 시선이 흐트러지고 당연했던 해석이 멈추는 찰나, 전시는 시각과 청각, 공간지각이 교차하는 환경 속에서 관람자가 스스로의 인식 구조에 질문을 던지도록 이끕니다.
전시는 밀라노 시내 중심부의 뮤제오 델라 페르마넨테Museo della Permanente에서 프랑스 작가 필립 파레노Philippe Parreno의 ‘Marquee’, 아티스트 듀오 A.A. 무라카미A.A. Murakami의 ‘The Cave’와 ‘Beyond the Horizon’, 세 작품을 선보였습니다.
이번 전시는 기아 디자인 철학의 세 가지 문화적 특징인 문화의 선구자Culture Vanguard, 지치지 않는 혁신Relentless Innovators, 창의적 모험가Creative Risk-takers를 출발점으로 삼았습니다. 각 아티스트는 이를 자신만의 언어로 재해석했고, 기아 디자인은 그 시선을 전시장 안에 구현했습니다. 관람객은 이 공간 속에서 새로운 감각과 인식의 전환을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Kia presented its third exhibition at Milan Design Week 2025, Eclipse of Perceptions. Like a solar eclipse when the sun and moon briefly overlap the exhibition explored the beauty that emerges when light and shadow, stillness and movement, technology and emotion, nature and the artificial intersect within a single space. This was an exhibition about that fleeting “moment of eclipse.”
Here, Eclipse signifies the temporary interruption of perception, while Perceptions signals the beginning of a new awareness. In the instant when familiar vision falters and habitual interpretations are suspended, the exhibition invited visitors to question their own structures of perception. Through an environment where sight, sound, and spatial awareness intertwined, the audience encountered fresh ways of sensing and understanding.
Held at the Museo della Permanente in central Milan, the exhibition featured three works: Marquee by French artist Philippe Parreno, and The Cave and Beyond the Horizon by the artist duo A.A. Murakami.
The project was framed around three cultural pillars of Kia’s design philosophy: Culture Vanguard, Relentless Innovators, and Creative Risk-takers. Each artist reinterpreted these qualities in their own language, while Kia Design embodied those perspectives within the exhibition space. Together, they created an environment where visitors could experience both sensory and perceptual transformation.

Chapter 01.
Marquee
Chapter 01.
Marquee
프랑스 출신의 현대미술 작가 필립 파레노Philippe Parreno는 영화, 건축, 설치미술 등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감각과 시간, 인식의 경계를 탐구하는 실험적인 작업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그는 기존 전시 형식을 해체하고, 관객·작품·공간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설계함으로써 동시대 미술계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그의 대표 연작 중 하나인 Marquee 시리즈는 1950년대 미국 극장의 외부 간판에서 모티프를 가져온 작업입니다. 익숙한 도시적 상징을 빌려와 현재의 시간성과 감각 환경 속에 다시 배치한 이 시리즈는, 과거의 기억과 현재의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조형 장치로 기능합니다. 2025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선보인 Marquee는 폭 4.8미터에 달하는 대형 캐노피 구조물로, 반투명 아크릴, 점멸 전구, 네온관 등 다양한 재료가 어우러져 빛의 흐름을 시공간적으로 시각화합니다. 이 작품은 고정된 구조물이 아닌 ‘움직이는 표면’으로 작동하며, 박물관 내부의 이벤트나 관람객의 이동, 공기의 흐름에 따라 조도의 패턴이 끊임없이 변화합니다. 여기서 빛은 단순한 조명 요소를 넘어, 공간의 리듬을 기록하고 감각을 자극하는 매개체가 됩니다.
French contemporary artist Philippe Parreno works across film, architecture, and installation, pursuing experimental projects that probe the boundaries of sensation, time, and perception. By dismantling conventional exhibition formats and reconfig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ence, artwork, and space, Parreno has established a singular position within the contemporary art world.
One of his signature series, Marquee, draws inspiration from the illuminated canopies of 1950s American theaters. Borrowing this familiar urban symbol and re-situating it within today’s temporal and sensory environment, the series functions as a sculptural device that bridges memories of the past with the immediacy of the present.
At Milan Design Week 2025, Parreno presented a monumental Marquee measuring 4.8 meters wide. Constructed from translucent acrylic, flashing bulbs, and neon tubes, the work visualizes the flow of light across space and time. More than a static structure, the piece operates as a “moving surface”: its patterns of luminosity continually shift in response to museum events, the circulation of visitors, and even the currents of air. Here, light becomes more than mere illumination it acts as a medium that records the rhythm of space and heightens sensory experience.

Marquee는 과거의 건축적 기호를 오늘의 감각 속에 다시 배치하며, 관객이 그 아래를 지나는 순간마다 다른 리듬과 분위기를 생성합니다. 반사와 투과, 그림자와 일렁임이 중첩되는 이 경험 속에서 관객은 조형물을 ‘보는’ 것이 아니라, ‘본다는 행위 자체’를 다시 인식하게 됩니다. 파레노는 이 작업을 통해 문화란 고정된 기호가 아니라, 끊임없이 움직이고 새롭게 해석되는 의미라고 말합니다.
Marquee는 시각적 구조물을 넘어서 건축, 디자인, 퍼포먼스의 요소가 교차하는 다층적 언어로 구성되며, ‘경계의 확장’을 구현합니다. 이 작품은 기아가 ‘문화의 선구자(Culture Vanguard)’로서 나아가고자 하는 태도를 잘 보여줍니다. 빛을 하나의 디자인 언어로 활용해 ‘Opposites United’의 긴장감과 조화를 드러내며, 횃불이나 신호등처럼 도시와 관람자를 이어주는 새로운 감각의 통로를 엽니다. 기아 디자인의 움직임은 여기서 하나의 신호가 되고, 관람자는 그 신호를 따라 새로운 문화의 세계로 초대받게 됩니다.
Marquee repositions an architectural symbol of the past within today’s sensory landscape, generating new rhythms and atmospheres each time visitors pass beneath it. In the interplay of reflection and translucence, shadow and flicker, the experience becomes less about “seeing a sculpture” than about becoming aware of the very act of seeing itself. Through this work, Parreno suggests that culture is never a fixed code, but a living field of shifting meanings and ongoing reinterpretations.
More than a visual structure, Marquee unfolds as a multilayered language where architecture, design, and performance converge, embodying an expansion of boundaries. The work resonates strongly with Kia’s identity as a Culture Vanguard, transforming light into a design language that expresses the tension and harmony central to Opposites United. Like a torch or a signal in the city, the canopy creates a sensory pathway that links the urban environment with its viewers. In this moment, Kia Design itself becomes a signal, inviting the audience to follow its glow into a new cultural realm.
필립 파레노
프랑스 출신의 현대미술 작가로, 1964년 그르노블에서 태어나 현재 파리를 기반으로 활동합니다. École des Beaux‑Arts de Grenoble와 Palais de Tokyo의 Institut des Hautes Études en Arts Plastiques에서 수학했으며, 1990년대부터 전시를 하나의 미디엄Medium으로 인식하며 ‘전시 자체를 예술 작품화하는’ 창작 방식을 제시해왔습니다. 대표 전시로는 파리 팔레 드 도쿄의 《Anywhere, Anywhere Out of the World》(2013), 런던 테이트 모던의 《Anywhen》(2016), 서울 리움미술관에서 열린 《Voices》(2024) 등이 있으며, 세계 유수 미술관에 그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2024년 리움미술관에서 열린 《Voices》 전시를 통해 빛, 소리, 기계, 알고리즘 등을 통합한 다층적 설치 작업으로 전시장 전체를 하나의 살아 있는 유기체처럼 구성했습니다. 또한 2025년에는 조현화랑과 협업해 루프랩 부산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대표 작업 중 하나인 Marquee 시리즈 설치를 포함한 공간 기반 미디어 아트 전시를 선보일 예정입니다.
Philippe Parreno
French contemporary artist Philippe Parreno was born in Grenoble in 1964 and is currently based in Paris. He studied at the École des Beaux-Arts de Grenoble and the Institut des Hautes Études en Arts Plastiques at the Palais de Tokyo. Since the 1990s, Parreno has redefined the exhibition as a medium in itself, pioneering a practice in which the exhibition space becomes the artwork.
His major projects include Anywhere, Anywhere Out of the World (Palais de Tokyo, Paris, 2013), Anywhen (Tate Modern, London, 2016), and Voices (Leeum Museum of Art, Seoul, 2024). His works are held in the collections of leading museums worldwide.
In Korea, Parreno introduced Voices at the Leeum Museum in 2024, transforming the entire exhibition space into a living organism through an immersive installation that integrated light, sound, machinery, and algorithmic systems. In 2025, he is collaborating with Johyun Gallery to participate in the Loop Lab Busan project, presenting a site-specific media art installation that includes one of his signature Marquee works.
Chapter 02.
The Cave
Chapter 02.
The Cave
런던과 도쿄를 거점으로 활동하는 아티스트 듀오 A.A. 무라카미A.A. Murakami는 기술과 자연, 감각과 개입 사이의 긴장을 설치미술이라는 매체를 통해 탐색해왔습니다. 이들은 공기, 수증기, 소리, 빛처럼 형태를 쉽게 규정할 수 없는 비물질적 요소들을 조형의 언어로 바꾸며, 관객의 감각과 시간 인식을 흔드는 섬세한 경험을 만들어냅니다.
The Cave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의 ‘동굴의 우화’를 오늘날의 감각 언어로 재해석한 작품입니다. 진홍빛 조명이 공간 전체를 물들이고, 고요한 물 위를 오르내리는 기계 장치들이 은은한 진동을 퍼뜨립니다. 뼈로 만든 피리와 소라 껍데기에서 울려 퍼지는 소리는 어딘가 낯설고도 익숙한 울림으로, 고대 악기의 소리를 떠오르게 하며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흐릿하게 만듭니다.
이 작품은 단순한 시청각적 몰입을 넘어,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지각하고 받아들이는지를 근본적으로 되묻는 장치입니다. 마치 플라톤의 우화 속 인물이 동굴 벽에 비친 그림자를 현실로 착각하듯, 관객은 이 공간 안에서 감각과 실재 사이의 경계 위에 서게 됩니다. 빛은 명확하지 않고, 소리는 울려 퍼지며, 열린 듯 닫힌 듯한 구조는 우리 지각의 한계를 시험합니다.
Based between London and Tokyo, the artist duo A.A. Murakami have long explored the tension between technology and nature, perception and intervention, through the medium of installation art. Working with intangible elements such as air, vapor, sound, and light, they translate the ephemeral into a sculptural language, creating delicate experiences that unsettle the audience’s sense of time and perception.
The Cave reinterprets Plato’s allegory of the cave through a contemporary sensory language. Crimson light washes over the entire space while mechanical devices rise and fall upon still water, sending gentle vibrations across the room. Sounds emanating from flutes carved from bone and the hollow of seashells hover between the familiar and the strange, evoking ancient instruments and blurring the boundary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This work extends beyond immersive spectacle to become a meditation on how we perceive and accept the world. Just as the figures in Plato’s allegory mistake the shadows on the cave wall for reality, visitors here find themselves suspended on the threshold between perception and the real. Light remains ambiguous, sound reverberates, and the open yet closed structure tests the limits of our sensory understanding.

The Cave는 시각과 청각, 물질과 비물질, 고대성과 현대 기술이라는 이질적인 요소들을 한 공간에 겹쳐 놓음으로써 감각의 해체와 재구성을 유도합니다. 이 작품은 기아가 지향하는 브랜드 정체성인 ‘끊임없는 혁신가(Relentless Innovators)’와 맞닿아 있습니다. 인류는 선사시대의 원초적인 표현에서부터 현대의 실험적 시도에 이르기까지, 창의적인 활동을 단 한 순간도 멈추지 않았습니다. 문화는 늘 새로운 방식으로 융합하며 진화해왔지요. 이 작품은 그 흐름을 오늘의 언어로 다시 해석하며, 기아 디자인이 전하려는 멈추지 않는 창의와 혁신의 정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관람객은 이 안에서 과거와 미래, 환영과 실재, 감각과 해석이 뒤섞인 하나의 연속된 흐름을 체험하게 됩니다. 작품은 말하지 않지만, 그 안에서 울리는 인식의 메아리는 오랫동안 관객 안에 남습니다. The Cave는 단절된 고립의 공간이 아니라, 사고의 울림이 시작되는 근원적인 공간으로 작동합니다.
The Cave overlays disparate elements sight and sound, matter and immateriality, ancient ritual and modern technology within a single environment, guiding visitors through a process of sensory dismantling and reconstitution. The work resonates with Kia’s brand identity as Relentless Innovators. From the primal expressions of prehistory to the experimental gestures of the present, human creativity has never stood still. Culture has always evolved through new forms of fusion, and The Cave reinterprets this trajectory in today’s language.
Here, visitors encounter a continuous flow in which past and future, illusion and reality, perception and interpretation intermingle. The installation does not speak in words, yet the echoes of perception it releases linger long after the experience ends. The Cave is not a space of isolation, but rather a primordial chamber where thought begins to resonate.

Chapter 03.
Beyond the Horizon
Chapter 03.
Beyond the Horizon
A.A. 무라카미의 또 다른 설치작품 Beyond the Horizon은 이번 전시에서 가장 크고 압도적인 규모를 자랑합니다. 기존에 홍콩 M+ 미술관에서 선보인 작업을 확장한 이 작품은, 기체와 증기를 조형의 주재료로 삼아 ‘고정되지 않는 세계’를 시각화했습니다.
천장에 매달린 기계 장치가 일정한 간격으로 증기 거품을 분사하면, 그것들은 공기 중에서 천천히 부풀어 오르다 흘러가듯 사라집니다. 형태를 갖추는 듯하지만 금세 흩어지는 이 거품들은, 마치 관객이 바라보는 그 순간조차 잡히지 않는 흐름과 같습니다. 존재하지만 붙잡을 수 없고, 보이지만 곧 사라지는 상태. 그것은 마치 우리가 살아가는 시간과 감각의 본질을 은유하는 듯합니다.
Beyond the Horizon은 형태와 무형, 통제와 우연, 실재와 환상의 경계 위에서 작동하는 작품입니다. 이 작업은 ‘기억되지 않음’을 전제로 만들어진 이미지이며, 관객에게 ‘무상함’이라는 감각을 머리로가 아니라 몸으로 체험하게 합니다. 관람자는 그 앞에 멈춰서기보다는, 거품처럼 흘러가는 리듬에 자신도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듯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마치 시간 속 일부가 되어 사라지는 감각을 느끼는 것입니다.
Beyond the Horizon, another installation by A.A. Murakami, stands as the largest and most immersive work in this exhibition. Expanding on a piece first presented at Hong Kong’s M+ Museum, the work uses gas and vapor as its primary sculptural materials to visualize a world that resists permanence.
From ceiling-mounted devices, clouds of vapor bubbles are released at measured intervals. They swell and drift through the air, only to dissolve as if they had never existed. For a fleeting moment they take form, but in the very act of looking, they slip away. These bubbles, at once present and unattainable, visible yet vanishing, evoke the elusive nature of time and perception itself.
Operating at the threshold between form and formlessness, control and chance, reality and illusion, Beyond the Horizon is an image built on the premise of “not being remembered.” It invites the audience to experience impermanence not as an abstract idea, but as a bodily sensation. Rather than confronting the work as a static object, viewers find themselves absorbed into its flowing rhythm, as if becoming part of time’s passing stream drifting, dissolving, and disappearing with it.

깜깜한 입구를 지나 두려움을 딛고 들어선 웅장한 공간, 그 안에서 고요히 춤추다 리듬감 있게 터져 오르는 거품의 장면은 우리가 창의적 모험가Creative Risk-taker로서 두려움을 넘어 도전할 때 느끼는 짜릿한 희열을 상징합니다. 이 작품은 기아가 지향하는 ‘Creative Risk-takers’의 정체성을 감각적으로 드러낼 뿐 아니라, ‘Opposites United’가 말하는 상반된 가치의 조화를 가장 실험적인 방식으로 구현합니다. 예측과 우연, 구조와 해체를 오가며, 디자인이 고정된 해답이 아니라 새로운 감각과 사고를 불러일으키는 살아 있는 실험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Beyond the Horizon은 명확한 메시지를 내세우지 않습니다. 대신 응시와 소멸, 형성과 해체의 사이에서 관객 스스로 자신만의 감각을 새롭게 정의하게 만듭니다. 이곳에는 뚜렷한 결론도, 경계도 없습니다. 오직 흐름만이 존재할 뿐입니다.
After passing through a dim entrance and stepping into a vast chamber, the audience encounters bubbles that rise slowly, dance in silence, and burst into rhythm. This fleeting spectacle becomes a metaphor for the exhilaration we feel when, as creative risk-takers, we push beyond fear and embrace challenge.
Beyond the Horizon embodies Kia’s identity as “Creative Risk-takers,” giving it a sensory form while also realizing the philosophy of Opposites United in one of its most experimental expressions. The work moves between prediction and chance, structure and dissolution, revealing design not as a fixed answer but as a living experiment that sparks new perceptions and ways of thinking.
The piece does not impose a message. Instead, it draws the viewer into the shifting threshold between presence and disappearance, formation and collapse, asking them to redefine their own sensibilities. In this space, there are no clear boundaries or conclusions—only the continuous flow that remains.
A.A. 무라카미
2020년 설립된 아티스트 듀오로, 아즈사 무라카미Azusa Murakami와 알렉산더 그로브스Alexander Groves가 공동 창작합니다. 도쿄와 런던을 오가며 ‘Ephemeral Tech’ 시리즈를 선보이며, 기술과 자연, 로보틱스와 감성을 결합한 감각 중심 설치 작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들의 작품은 뉴욕 MoMA, 파리 퐁피두, 홍콩 M+ 등 유수 미술기관의 영구 소장품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번 밀라노 전시에서도 두 작품을 통해 기아 철학을 구현합니다.
A.A. Murakami
Founded in 2020, the artist duo A.A. Murakami is composed of Azusa Murakami and Alexander Groves, who collaborate between Tokyo and London. Through their ongoing Ephemeral Tech series, they have gained recognition for sensory-driven installations that merge technology and nature, robotics and emotion. Their works are held in the permanent collections of leading institutions such as MoMA in New York, the Centre Pompidou in Paris, and M+ in Hong Kong. In this year’s Milan exhibition, the duo presents two major pieces that embody Kia’s design philosophy.

Chapter 04.
Theater of Opposites United: Kia Design의 ‘The Eclipse’
Chapter 04.
Theater of Opposites United: Kia Design의 ‘The Eclipse’
기아 디자인은 2025 밀라노 디자인 위크의 여정을 ‘The Eclipse’로 마무리했습니다. 고대 로마 극장에서 영감을 받은 이 공간은 하나의 설치 작품이자, 매일 다양한 담론이 오가는 포럼이자, 감각을 폭발시키는 콘서트가 열리는 무대이기도 했습니다.
관객을 맞이한 것은 계단식 좌석 구조의 원형 극장. 이곳에서 사람들은 단순한 구경꾼이 아닌, 무대의 일부가 됩니다. 두 장의 대형 프린트 천과 가장 안쪽의 디스플레이, 총 세 겹의 레이어가 빛과 그림자 속에서 서서히 겹쳐지며, 마치 개기일식의 순간처럼 시각과 인식의 경계를 흔듭니다. 레이어 사이로 투사되는 영상은 기아 디자인이 제시한 담론 위에 아티스트들의 시선을 더하며, 전시의 주제인 ‘Opposites United: Eclipse of Perceptions’를 공간 속에 구현했습니다.
Kia Design concluded its journey at the 2025 Milan Design Week with “The Eclipse.” Inspired by the architecture of ancient Roman theaters, the space functioned simultaneously as an installation, a forum for daily discourse, and a stage for concerts that ignited the senses.
What welcomed the audience was a circular amphitheater with tiered seating, where visitors were not mere spectators but part of the stage itself. Two large printed canvases and a display screen at the innermost layer formed three overlapping planes of light and shadow. These layers slowly merged, evoking the fleeting moment of a total eclipse and unsettling the boundaries between sight and perception. Onto these shifting surfaces, moving images were projected, layering the perspectives of participating artists onto Kia Design’s own discourse, and giving spatial form to the exhibition’s central theme: “Opposites United: Eclipse of Perceptions.”

이 공간에서 기아 디자인은 전시를 ‘보여주기’가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과 생각을 나누고 디자인 철학을 확장하는 장으로 삼았습니다. 그 과정에서 발견된 수많은 아이디어와 시각은 하나의 절정으로 모여 ‘일식’이라는 상징적인 순간으로 완성됩니다. 그러나 이는 끝이 아닌 새로운 여정의 시작이었습니다. 극장에서는 이 순간을 담은 영상이 끝없이 흐르며, 전시가 끝난 후에도 탐구를 멈추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The Eclipse’는 전시의 피날레인 동시에 기아 디자인 철학의 압축된 선언입니다. 형태와 기능, 정보와 해석, 빛과 어둠이 교차하는 이 무대 위에서, 관객은 스스로의 지각을 재정립하고, 다가올 가능성을 상상하게 됩니다.
In this space, Kia Design did not simply “present” an exhibition but created a forum where ideas from diverse fields could meet and its design philosophy could expand. The multitude of perspectives discovered in the process converged into a single crescendo, embodied in the symbolic moment of the “eclipse.” Yet that moment was not an end, but the beginning of a new journey. Inside the theater, a looping film of this scene continues to play, delivering a message that the inquiry will not cease even after the exhibition concludes.
The Eclipse stands as both the finale of the exhibition and a distilled declaration of Kia Design’s philosophy. On this stage where form and function, information and interpretation, light and shadow intersect, the audience is invited to reframe their own perception and to imagine the possibilities that lie ahead.
Epilogue
기아의 전시는 막이 내려도 끝나지 않습니다. 《Eclipse of Perceptions》는 감각을 전환하고, 인식을 새롭게 바라보게 하는 출발점이기 때문입니다. 태양이 잠시 가려지고 빛이 달라지는 순간, 관객은 스스로에게 묻습니다.
“지금 내가 보고 있는 것은 진짜일까?”, “내가 내린 판단은 온전한 생각일까?”
이 질문은 전시장을 넘어 관람객의 상상 속으로 번져 나갑니다. 이번 여정은 단순히 ‘디자인이 아름답다’는 감탄으로 설명되지 않습니다.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무엇을 믿으며, 어디로 향하는지 되묻는 과정이었습니다.
전시는 끝났지만 여운은 남습니다. 《Eclipse of Perceptions》는 기아가 무엇을 보고, 어디로 나아가며, 어떻게 문화를 통해 자신의 언어를 다시 쓰고 있는지를 보여주었습니다. 디자인은 결국 새로운 삶의 방식과 감각의 틀을 제안하는 일입니다. 이번 전시에서 기아는 그 메시지를 예술로 전했고, 관객은 그 안에서 또 다른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완결된 해답을 주기보다 생각의 여백을 열어두는 것, 그것이 이번 전시의 태도였습니다.
2025년의 ‘Opposites United’는 구호가 아니라 낡은 경계를 넘어 새로운 시선을 여는 힘이었습니다. 창작은 정답을 찾는 일이 아니라, 세상을 주의 깊게 바라보고 타인과의 교감을 통해 자신을 갱신해 나가는 과정입니다. 그 모든 과정이 기아가 말하는 디자인의 태도입니다. 전시는 끝났지만 전환은 계속됩니다. 우리가 기아가 던질 다음 질문을 기다리는 이유입니다.
Epilogue
Kia’s exhibition does not end when the lights go out. Eclipse of Perceptions was never meant to be a conclusion, but as a starting point—an invitation to shift the senses and to see perception in a new light. In the brief moment when the sun is eclipsed and light changes its nature, visitors find themselves asking:
“Am I truly seeing what is in front of me?”
“Are my judgments entirely my own?”
These questions extend beyond the gallery walls, unfolding in the imagination of each spectator. This journey cannot be summed up with a simple admiration that “design is beautiful.” It was a process of re-examining how we see the world, what we choose to believe, and where we are heading.
The exhibition may have ended, but its resonance continues. Eclipse of Perceptions revealed what Kia is observing, where it is moving, and how it is rewriting its language through culture. Design, after all, is the proposal of new ways of living, new frames of sensation. In this exhibition, Kia delivered that message through art, and audiences discovered another dimension of themselves within it.
Rather than offering fixed answers, the exhibition opened spaces for thought. That was its true attitude. In 2025, Opposites United was not a slogan but a force that dismantled worn boundaries and revealed new perspectives. Creation is not about finding definitive solutions but about looking carefully at the world, renewing oneself through dialogue with others. That ongoing process is what Kia defines as the spirit of design.
The exhibition is over, but the transformation continues. And that is why we wait for the next question Kia will p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