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3.0 이후의 한류
Hallyu after Hallyu 3.0
영국 런던에 위치한 빅토리아 앤 알버트 뮤지엄(이하 V&A)에서 의외의 전시가 열리고 있다. 이름부터 그 취지가 선명한 《한류 1)! 더 코리안 웨이브Hallyu! The Korean Wave》다. V&A는 1851년 만국박람회의 성과를 기념하며 설립한 뮤지엄이다. 그 역사가 증명하듯 장식미술, 디자인, 퍼포먼스 등에 집중해 인류학적 관점으로 유물을 수집, 보존, 전시하는 유구함을 자랑한다. 이런 역사적 배경과 명확한 지향점을 가진 뮤지엄에서 ‘한류’를 주제로 전시를 기획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물음표가 한 가득 떠올랐다. “현재 진행형의 흐름인 한류가 어떻게 V&A의 전시 주제가 될 수 있었을까? 한류가 전시할 만큼의 실체를 가진 것이었단 말인가?”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V&A) is holding an unexpected exhibition, Hallyu! 1)The Korean Wave, and one which clearly reveals its purpose through its title. The V&A is a museum that was established as the “Museum of Manufactures” in 1852, commemorating the achievement of the 1851 World’s Fair in London. Since then it has boasted a distinguished history of collecting, preserving, and exhibiting artifacts from a cultural and anthropological perspective by focusing on decorative art and design. As soon as I heard that this exhibition was planned under the theme of “hallyu”—and at a museum with such an acclaimed background and with a clear goal in mind—many questions came to mind, including “How could the presently ongoing trend of hallyu be the subject of an exhibition at the V&A?” as well as “Does that mean hallyu has enough substance to it for an entire exhibit?”
이런 질문의 바탕에는 어쩌면 한류에 관해 어딘가 모르게 어색하게 느껴왔던 마음이 있었는지도 모른다. 이따금 뉴스를 통해 들려오는 한국영화, 감독, 배우의 해외 수상 소식, 국내에서 제작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에 대한 국제적인 열광, K팝 아티스트의 폭발적인 인기까지, 소위 ‘국위선양’이라고 좋아할 만한 소식은 왠지 가깝고도 멀게 느껴졌던 게 사실이다. 지난 9월 ‘프리즈Frieze’ 아트 페어가 서울에 성공적으로 론칭하고, 해외 유명 갤러리가 줄지어 서울 지점을 내는 등 세계 미술계에서도 한국이 부쩍 주목받는 것을 체감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류는 손에 잡히지 않는 단어였다. 그래서 더 궁금했다. 한국인이 아닌 이들이 한국이 아닌 곳에서 열리는 전시를 통해 한류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을까.
Perhaps there was a feeling of awkwardness about hallyu driving these questions. It is true that so-called “national prestige enhancing” news, such as the occasional news of Korean films, directors, and actors winning awards abroad, international enthusiasm for locally produced Netflix original dramas, and the explosive popularity of K-pop artists, felt both close and distant to me at the same time. After the Frieze Art Fair was successfully launched in Seoul in September 2022, a number of famous overseas galleries opened branches in Korea’s capital city. As such, it was clear that Korea had gained more recognition in the global art world, yet hallyu remained a concept that Koreans could not fully wrap their heads around. That is why I was so curious about how non-Koreans would interpret hallyu through an exhibition held outside of Korea.
V&A가 《한류! 더 코리안 웨이브》를 통해 다룬 한류는 그 방향성이 선명했다. 이번 전시의 총괄 큐레이터이자 V&A 한국관 큐레이터이기도 한 로잘리 킴Rosalie Kim은 “한국은 전쟁의 상흔을 안고 소셜 미디어와 디지털 문화를 선도했고, 사회의식을 갖춘 글로벌 팬에 의해 증폭돼 문화 강국으로 이미지를 바꿨다”라고 전시 기획 의도를 밝힌 바 있다. ‘한류란 무엇인가?(What is Hallyu?)’라는 소제목이 붙은 도입부는 2012년 국제적인 센세이션을 일으켰던 가수 싸이(PSY)의 〈강남스타일〉로 전시의 시작을 알린다. 한류 콘텐츠로 연일 각광받던 〈강남스타일〉이 어느덧 10년 전 이야기라는 사실이 새삼스럽다.
Hallyu, as dealt with through the V&A’s Hallyu! The Korean Wave, had a very clear purpose in this case. When talking about this, Rosalie Kim, curator of the exhibition and the V&A’s Korean Pavilion, said, “South Korea has captivated the world over with hallyu, its vibrant and creative popular culture, which has transformed the country’s image from one devastated by the Korean War to that of a leading cultural powerhouse in the era of social media and digital culture today.” The introductory part, titled “What is Hallyu?” marks the beginning of the exhibition with singer PSY’s Gangnam Style, a song that caused an international sensation in 2012. It is crazy to think that Gangnam Style, which had been in the hallyu spotlight every day for so long, it seemed, is a story from a decade ago.
전시는 누구나 한번쯤 접했을 대중적인 콘텐츠로 관객의 친밀감을 확 끌어당긴 뒤 곧이어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독재정권, 개발도상국으로서의 비약적인 산업 발전, 민주주의 쟁취라는 역동적인 근대사를 가진 한국의 역사적 배경을 살핀다. 첫 번째 섹션인 ‘기술 강국이 되기까지(From Rubble to Smartphones)’다. 1970년대 흑백 사진, 1988 서울올림픽의 호돌이 포스터, 삼성전자 공장 사진 등의 사료는 한국인이 보기엔 즉각적으로 시대와 맥락이 단번에 읽힌다. 그러나 외국 관객이 해당 사료를 감각적으로 느끼기는 쉽지 않을 것이 분명해 보였다. 타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문해력 격차(literacy gap)는 자연스러운 난관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번 전시는 단청의 색 조합에서 도출한 컬러 배리에이션과 백남준, 함경아, 권오상 등 한국 현대미술 작가 작품의 유기적 배치, 공간의 적극적인 대비감을 통한 감각적인 전시 흐름이 관객을 매혹한다.
The exhibition instantly imparts upon viewers a feeling of intimacy with popular content that almost anyone may have already encountered at least once, and then examines Korea’s historical background and its dynamic modern history, which start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n moves through to the Korean War, dictatorship,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as a developing country, and the process of achieving democracy. The first section is “From Rubble to Smartphones.” The time frames and contexts of historical materials, such as black-and-white photographs in the 1970s, posters of Hodori at the 1988 Seoul Olympics, and photos of a Samsung Electronics factory, can of course be immediately interpreted from a Korean’s perspective. However, it was not clear if foreign audiences would be able to recognize those same historical materials with the appropriate magnitude they represented. This is because the literacy gap about the history and culture of a foreign country is a natural challenge for people. Nevertheless, the exhibition attracts viewers with its color variations derived from the color combination of dancheong (Korean traditional decorative coloring on wooden buildings),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Korean contemporary artists such as Nam June Paik, Ham Kyungah, and Gwon Osang, and the attractive flow of the exhibition through its deliberate contrast in spaces.
이번 전시의 크리에이티브 리드를 맡은 김영나 디자이너는 한류를 ‘살아있는 생물’로 파악했다. “저는 한류가 하나의 분야나 국가에 귀속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없는 동시대적인 흐름이라고 생각했어요. 전시 준비가 장기간 지속되다 보니 콘텐츠가 중간에 바뀌어야만 하는 상황들이 생기기도 했죠. 한류가 정말 변화무쌍한 콘텐츠라는 점을 다시 실감했던 것 같아요. 요즘 트렌드의 최전선에 있는 영역들이 한류와 관련된 게 워낙 많기도 하고요.” 이번 전시의 킥오프는 오래되었다. 전시 준비를 시작하던 3년 전만 하더라도 영화 〈기생충〉의 미국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이나 넷플릭스 시리즈 〈오징어 게임〉의 국제적인 성공은 전혀 짐작할 수 없었다. 역동적인 한류의 성격 때문에 두 번째 섹션 ‘K드라마와 영화, 새로운 세상을 펼치며(Spotlighting K-drama and Cinema)’의 전시 요소는 준비 기간 중 그 내용이 계속해서 바뀌었다.
Designer Na Kim, who took charge of the creative lead in this exhibition, identified hallyu as a “living creature,” explaining, “For me, hallyu is a contemporary trend that cannot be said to belong to a single field or country. As the preparation for the exhibition went on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were situations where the content had to change while we were in the midst of it all. This made me realize—yet again—that hallyu is indeed content that is constantly changing. Also, many areas that are at the forefront of cultural trends these days are related to hallyu.” In certain ways, this exhibition kicked off quite some time ago. Three years ago, when preparations for the exhibition began, the film Parasite had not won the Academy Award for Best Picture, while the international success of the Netflix series Squid Game was unthinkable. Due to hallyu’s dynamic nature, the exhibition elements of the second section, “Spotlighting K-drama and Cinema,” continued to change during the preparation period.
이런 변화무쌍한 콘텐츠를 진열장(cabinet) 형태로 전시했다는 점은 무척 흥미롭다. 진열장은 개인의 취향을 보여준다는 역사적 맥락을 갖고 있기도 하거니와, 과거의 유물이나 시공간을 원래의 맥락에서 이탈시켜 현재의 주제로 붙여놓는 방법론이기 때문이다. 이는 마치 한류가 ‘공식적으로’ 인류사에 남을만한 세계적 경향성으로 동의되는 듯한 느낌을 안겨 준다. 실제 김영나 디자이너는 ‘혼종성(Hybridity)’에 주목해 아이디어를 넓혔다. 예컨대 한국 1세대 광고 사진가 김한용(1924-2016)의 광고 포스터와 K팝 아티스트 블랙핑크 멤버인 리사의 미국 《빌보드Billboard》 매거진 커버 이미지를 나란히 배치할 때 생기는 맥시멀한 혼종성이 바로 그것이다. “시대가 뒤죽박죽 섞인 콘텐츠를 하나로 엮는 방식으로 캐비닛이 굉장히 효과적일 수 있겠다고 생각했어요. 아카이브화되어 절대성을 가진 콘텐츠처럼 해석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콘텐츠를 받아들이는 개인의 주관성에 관한 유연함까지도 포용할 수 있는 장치가 아니었나 해요.” 요컨대 이는 국적을 초월한 동시대 사람이 ‘한류라는 언어’를 사용하는 방식에 관한 접근이었다.
It is actually very interesting that this ever-changing content was displayed in the form of a cabinet. The reason for this has to do with the cabinet and its historical context of capturing individual tastes.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methodology that deviates the past artifacts or time & space from the original context to connect them all under one present theme. This gives the impression that hallyu is officially seen as a global trend that has now cemented its place in human history. In fact, designer Na Kim expanded her idea by focusing on “hybridity.” For example, there is a distinct hybridity created when an advertisement poster from first-generation Korean advertising photographer Kim Han-Yong (1924-2016) is juxtaposed with a Billboard magazine cover image featuring Lisa, a member of the K-pop group BLACKPINK. As Na Kim put it, “I thought the cabinet could be a very effective way to combine the mixed content from different time periods into one exhibition. While it can be archived and interpreted as content with an absolute nature to it, I think the cabinet was a device that could embrace the flexibility of the individual’s subjectivity to accept such content.” In short, it was an approach to how contemporaries use the language of hallyu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y.
전시는 ‘K팝과 팬덤, 세계적인 박자(Sounding K-pop and Fandoms)’와 ‘K뷰티와 패션, 밝은 전망(Making K-beauty and Fashion)’으로 이어지며 마무리한다. 역시 한류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영역이다. 이번 전시의 파격적인 수집품 중 하나는 K팝 팬들이 직접 제작한 응원 배너들이다. 뮤지엄의 주요한 역할이 미술품 및 사료의 수집·보존·연구라는 점에서 이제 한류는 일종의 전 세계적 문화 현상으로서 수집·보존·연구가능한 영역에 포함되었다고 독해해볼 수도 있겠다. ‘무엇을 어떻게 역사화 할 것인가’에 대한 동시대적 입장은 이처럼 어디로 튈지 모르는 문화의 변형과 궤를 같이한다.
이번 전시는 비교적 긍정적이고, 명랑하고, 활기찬 뉘앙스가 가득하다. 학술적, 비평적 관점에서의 진지한 접근이라기보다, 대중문화 산업이 견인하는 흐름의 여파를 정리하는 정도로 보이기도 한다. 한류의 문화적 깊이와 지속성에 관해 당사자인 우리는 어떤 태도를 견지해야 할까? 김영나 디자이너는 한 가지 흥미로운 의견을 제시했다. “저는 지금 활발히 활동하는 20대 창작자를 주목해볼 만하다고 생각해요. 어딘가에 확실한 소속감을 느끼지 않고, 딱히 안전하게 기댈 만한 곳이 없는 사람들 특유의 강력한 에너지가 느껴지거든요. 그들이 만드는 ‘오리지널리티’로부터 그다음의 한류를 예감해볼 수 있지 않을까요?”
The exhibition continues with “Sounding K-pop and Fandoms” and ends with “Making K-beauty and Fashion.’’ These are indispensable aspects of hallyu. One of the unconventional collections of the exhibition has to do with cheering banners produced by K-pop fans. Given that the major role of a museum is to collect, preserve, and study art and historical materials, one could say that hallyu is now seen as something to be collected, preserved, and studied as a kind of global cultural phenomenon. The contemporary position on “what and how to historize” is in line with such an unpredictable transformation of culture.
This exhibition is full of relatively positive, uplifting, and energetic nuances. Rather than taking an overly serious approach from an academic and critical point of view, it seems to be a summary of the aftermath of trends driven by the pop culture industry. What mindset should we, the party concerned in this case, have regarding the cultural depth and continuity of hallyu? Designer Na Kim offered an interesting opinion: “I think it’s worth paying attention to creators in their 20s who are active right now. I can feel the strong energy unique to people who don’t feel a certain sense of belonging anywhere and don’t have a safe place to lean on. Don’t you think it’s possible to predict the next trend in hallyu from the originality they create?”
문화콘텐츠 연구자들은 한류의 변천을 ‘동아시아 한류’와 ‘한류 2.0’, ‘한류 3.0’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IMF 이후 <대장금>과 같은 한국 TV 드라마가 아시아권에서 주목받던 첫 번째 궤도를 지나, 2000년대 중반 이후로 가늠하는 한류 2.0에서는 온라인 게임과 아이돌 문화가 주류였다. 현재 진행형인 한류 3.0에서는 K팝 외에도 한글, 복식, 음식, 뷰티 전반을 꿰는 K콘텐츠에 관한 국경 없는 팬덤이 펼쳐지고 있다. 한류는 이제 종적(diachronic)인 분류에 그치지 않고 횡적(synchronic)인 접근으로서 개념화, 범주화되고 있다. 이번 전시 이후로 또 어떤 변화가 한류를 재구성할지 기대되는 대목이다.
Cultural content researchers also classify the changes in hallyu as “East Asian Hallyu,” “Hallyu 2.0,” and “Hallyu 3.0.” After the IMF foreign exchange crisis in the late 1990s, Korean dramas such as Dae Jang Geum (Jewel in the palace) marked the first step in attracting attention to Korean pop culture in Asia. Online games and idol culture, which took off in the mid-2000s, were then the mainstream of Hallyu 2.0. In the presently ongoing Hallyu 3.0, there is a borderless fandom concerning K-content that, in addition to K-pop, penetrates Hangeul, clothing, food, and the beauty industry. Hallyu is now not only being classified in a vertical way, but is also being conceptualized and categorized in a horizontal approach. As a result, it is likely that other changes will lead to reimagining what hallyu means after the exhibition, which runs until Jun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