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이곳에서 건축의 내일을 내다보고, 내일 그곳의 건축을 되돌아보기— 건축가 김찬중
A Timeline of Architecture: Looking Ahead to Tomorrow, Today/Looking Back at the Past, Tomorrow — Chanjoong Kim, Architect
《기아 디자인 매거진》은 과감한 기술 혁신과 전방위적 협업을 통해 한국에서 새로운 건축 생산 시스템을 주도한 더_시스템랩 건축사무소(이하 더시스템랩)의 김찬중 건축가를 만났습니다. 그는 현재의 삶과 동행하는 유연함, 앞으로의 변화를 예측하는 기민함을 지닌 인물입니다. 더시스템랩의 건축적 시도가 혁신적인 문화적 산물로 주목받는 이유를 살펴봅니다.
For this volume, Kia Design Magazine met up with Chanjoong Kim, an architect at the architectural firm The System Lab, which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a new architectural production system in Korea through its bold technological innovations and multidirectional collaborations. With his trademark flexibility, Kim not only dismantles a benumbed sense of architectural inertia while addressing people’s lives today but also has the foresight to predict what changes will unfold in the future. Let’s learn why The System Lab’s audacious architectural efforts are attracting attention as ingenious cultural products.
About the Artist
2010년대 한국 건축에서 독보적인 성취를 이루고 있는 김찬중은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스위스 연방공과대학교(ETH Zurich)에서 수학하였으며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건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서울의 한울건축, 보스턴의 KSWA 등에서 실무를 쌓았으며 귀국 후 현재까지 경희대 건축대학원의 설계 전공 초빙 교수로 재직하면서 더_시스템랩 건축사무소 대표로 활동 중이다. 2006년 베네치아 비엔날레 국제건축전 한국관 대표 건축가로 초청됐고, 같은 해 중국 베이징 국제 건축 비엔날레에서 ‘주목받는 아시아의 젊은 건축가 6인’에 선정됐다. 그의 작업은 영국 《아키텍처럴 리뷰》, 이탈리아 《도무스》와 《아비타레》, 스페인 《까사 미카》, 네덜란드 《마크》 등 국제적인 저널에서 다양하게 소개했다. 산업과 기술의 시스템적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김찬중의 건축은 새로운 소재 개발과 과감한 적용, 산업계와 맺는 전방위적 협업, 기존 건축 생산 방식과 차별화하는 전략적 사고가 특징이다. 모듈과 유닛에 대한 실험, 다양한 방식의 맞춤형 건축, 프리패브리케이션과 같은 생산 시스템에 대한 지속적 고민과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요구에 대응하는 건축 설계 서비스 등 현실적인 과제뿐 아니라 건축을 통한 마을 만들기와 생태계 구축처럼 공공적 가치에도 관심과 노력을 쏟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상암동 JTBC 빌딩, 삼진제약 마곡 연구센터, 마곡 서울식물원 온실, 성수동 우란문화재단, 울릉도 코스모스 리조트, 하나은행 삼성동 PLACE 1, KH바텍 사옥, 한남동 핸즈코퍼레이션 사옥, 구름에 리조트 등이 있다.
Chanjoong Kim made a unique achievement in Korean architecture in the 2010s. After graduating from Korea University’s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he began his studies at the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Zurich (ETH Zurich) and then earned his master’s degree in architecture at Harvard University. Later, he gained work experience at Hanul Architects & Engineers Inc. in Seoul and KSWA in Boston. Since returning to Korea, he has served as a visiting professor at Kyung Hee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while serving as principal architect at The System Lab. He was invited to the 10th Venice Biennale held in 2006 to represent Korea in the field of architecture at the star-studded event and was subsequently selected as one of six young Asian architects to take note of at the Beijing International Architecture Biennale that same year. To date, his works have been featured in many renowned international journals, including Architectural Review (UK), Domus and Abitare (Italy), Casa Mica (Spain), and Mark (Netherlands).
Characterized by a systematic combination of industry and technology, Chanjoong Kim’s architecture has evol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and radical applications, an all-round collaboration with the industry, and strategic thinking that i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building production methods. In addition to real-world tasks—whether experiments with modules and units, architectural customization in countless ways, a continuous reflection on a production system like prefabrication, and building design services to respond to clients’ diverse needs—Kim pays a great deal of attention to and puts a tremendous amount of effort into the public good, such as building villages and ecosystems by using architecture as his medium. Some of his major projects include the JTBC Building, Samjin Pharm Research Center, Seoul Botanic Park’s greenhouse, Wooran Foundation, Healing Stay Kosmos Resort (Ulleungdo Island), KEB Hana Bank Place 1, KH VATEC office building, Hands Corporation Building (Hannam-dong), and Gurume Resort.
올해는 김찬중 건축가가 이끄는 더시스템랩의 창립 10주년이다. 지난 10년은 건축계와 대중에게 김찬중 건축의 특징을 이해시키는 과정이었다. 더불어 그가 입증하려고 노력했던 크고 작은 문제를 해결하고 설득하는 데 걸린 시간의 마디였을 것이다. 그를 만나기 전 궁금한 점을 짚어 봤다. 다른 곳과 차별화되는 기술적인 성취, 건축 디자인이 갖는 미적 특질, 단번에 시선을 사로잡는 독특한 외관에 대한 경탄 섞인 질문은 떠오르지 않았다. 그보다는 물질 문화를 집약한 지금의 건축을 주도하고 생산하는 건축가가 마주한 딜레마와 미래 건축에 대한 진단을 묻고 싶었다.
This year marks the 10th anniversary of The System Lab, which has been led by architect Chanjoong Kim that entire time. Over the past decade, Kim has gone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the characteristic aspects of his architecture understood by the architectural community as a whole and the public. In layman’s terms, he has made it relatable for end-users. What is more is that he has taken it upon himself to use part of that time to solve big and small problems alike. Before meeting with him for the first time, I put together a number of questions I wanted to ask him. However, questions made in admiration—about his firm’s distinctive technical achievement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his architectural designs, and the unique exteriors of buildings that instinctively catch a person’s attention at a single glance—didn’t come to mind for me. Instead, I wanted to ask him about the inherent dilemma he, someone who is playing a leading role in today’s realm of architecture, which shows the completion of material culture, has faced, as well as his diagnosis for the future.
더시스템랩은 요즘 힙한 성수동 한가운데에 있다. 자신이 설계한 우란문화재단 건물에 입주한 사무소는 이미 ‘연구실(lab)’의 위상과 규모를 넘은 지 오래다. 하지만 여전히 유지하는 담백하고 캐주얼한 면모는 상투적인 스타 건축가의 모습을 슬쩍 빗겨 나갔다. “건축은 가장 오래되고 레거시legacy가 강한 산업이에요” 그의 이런 표현에는 건축 역사에 대한 존중과 함께 오랜 시간 존속한 영역이 갖는 완고함과 경직성에 대한 일침이 공존한다. 건축가의 일을 예술로 표현하지 않고, 산업이라고 표현한 것 역시 곱씹어볼 만하다. 작가주의 건축, 영웅주의 건축가와 일정한 거리를 두는 이 냉정함은 결코 건축의 가치를 깎아내리는 의도가 아니다. 오히려 사회적 맥락에서 유연하게 확장하고 과감히 수축할 필요가 있는 동시대 건축에 대한 관점과 태도라고 보는 게 타당하다. 세속적인 건축에 필연적으로 요구하는 무게감을 덜어내고,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에게 꼭 필요한 물리적 기능과 정서적 감응을 제공하는 말랑한 건축 말이다.
The System Lab is located in the middle of Seongsu-dong, one of Seoul’s hippest areas these days. His office, which has long exceeded the size and stature of a mere lab, recently moved to the Wooran Foundation building, which he designed. And yet the causal, laid-back demeanor of this man who is the head of an architectural firm is slightly amiss from the cliché of being a rock star architect. As he put it to me upon meeting, “Architecture is one of the oldest industries and has a very strong legacy.” His statement reveals both respect for the history of architecture and a view to the stubbornness and rigidity of the long-lived field. His referring to an architect’s work not as art but as industry also gives us pause. Chanjoong Kim’s unique cool-headedness of drawing a certain line between himself and the architecture of auteurism and other heroic architects is not an attitude that degrades the value of architecture produced and consumed in a capitalist society. Rather, it contains a perspective and outlook on the rol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that needs to be expanded flexibly and boldly contracted in a social context. Indeed, Kim implies the soft conditions of architecture which relieve the inevitable sense of weight required for secular architecture, while also providing essential physical functions and emotional sensitivity for people’s lives today.
그와의 대화에서 흥미로운 대목은 공예와 산업 디자인, 사람과 도시 인프라, 사회적 제도와 법령, 물질 문화 사이에서 유동하는 건축의 연약함을 인정하는 부분이었다. 그는 이런 토대 위에서 ‘새로고침’ 해야 할 건축 문화를 총체적으로 고민한다. 상대적으로 빠른 판단 아래 변동을 수용하는 산업 디자인의 분야적 특징을 참고하려는 마음가짐은 옴싹달싹하기 힘든 보수적인 건축을 온전히 다른 시선으로 쪼개고, 비워내며 이질적인 것과 융합하려는 준비 과정일지도 모른다. 모든 것이 급변하는 불확실성의 시대에서 사회 구성원 모두를 만족시키는 보편적이고 합리적인 디자인, 기념비적인 건물, 자연을 통제하려는 욕망, 정치적으로 올바르고 생태적으로 안전한 실천이 과연 공존할 수 있을까? 이런 딜레마는 사실 건축뿐 아니라 모든 창작 분야에서 나타난다. 게다가 큰 자본을 투입하는 대형 건축물은 물리적인 유지와 복구, 파괴에 관한 복합적인 고민까지 안고 있다. 앞으로 더욱 정확한 예견과 지속가능한 솔루션에 대한 궁리, 실천 의지가 중요하다는 점을 그는 충분히 알고 있었다.
An interesting part of the conversation with him was that he admitted to the fragility of architecture flowing between crafts and industrial design, people and urban infrastructure, social institutions, laws, and material culture. Based on this foundation, he seriously believes that architectural culture as a whole needs to hit the refresh button. His mindset to refer to the innovation and implosion going on these days in industrial design, which accommodates variability with relatively fast judgment and action, may be a preparatory process to divide, empty, and fuse architecture caught in a rut with heterogeneous elements. This leads to a question: Can design that is both universal and rational satisfy the absolute majority, the desire for monumental architecture and beautiful landscapes controlling nature, and politically correct and ecologically safe practices coexist in an era of uncertainty where everything is changing so rapidly? This kind of dilemma is actually emerging in every creative field. Furthermore, large buildings in which a significant amount of money is invested are involved in complex concerns about physical maintenance, restoration, and destruction. Chanjoong Kim is fully aware that it will be critical in the future to have more accurate predictions, sustainable solutions, and a stronger willingness to put those solutions into practice.
건축의 스펙트럼은 점점 더 확장할 것이다. 그의 말대로, 건축은 스마트폰에 압축하며 나타난 디지털 기술의 특성을 수용하고, 자유롭게 달리다 어디든 정박할 수 있는 캠핑카의 일시적 정주성을 지니며, 아무것도 짓지 않아서 동시에 무엇으로든 바뀔 수 있는 빈 공장의 유연함을 지지한다. 그 무엇도 정해진 것은 없다. 건축가의 독창적 제안과 현실적 실천을 ‘작품’, ‘제품’이 아닌 ‘프로젝트’로 칭하는 데에서 건축적 사고의 핵심은 곧 내일을 투영하는 일이라는 사실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오늘의 건축이 머잖아 과거의 유산이 되는 현대 사회에서 건축가의 시계는 이곳에서 내일을 내다보고, 내일 존재할 건축의 과거를 회고하며 작동한다. 변화하는 시간과 기술, 제도와 환경을 관통하며 건축적 사건을 매개하는 일은 결국 사람의 몫이다.
The domain of architecture is certain to continue expanding. As Kim alluded to, architecture embraces the integration of digital functions compressed in smartphones, studies the temporary settlement of RVs that can run freely and park anywhere, and is an empty factory which can be transformed into anything at the same time. Nothing is unequivocally fixed. However, if we expand the perspective of calling an architect’s original proposals and realistic practices “projects”—and neither artworks nor products—the core of architectural thinking may lie in projecting tomorrow. Just as today’s architecture will soon become a legacy of the past, the architect’s view works in the here and now by looking ahead into tomorrow and looking back on the past of architecture that will necessarily exist tomorrow. Nonetheless, it will always be up to humans to mediate architectural events while going through the changing times, technology, institutions, and environ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