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없던 공간
A Non-existent Space in the World
삶을 지속하는 동안 공간에 머물러야 하는 숙명 때문일까? 사람들은 날이 갈수록 더욱더 공간에 심취돼 간다. 그 중요성을 따지는 게 무의미할 정도로 말이다. 우리가 원하는 공간은 매번 똑같지 않다. 어느 시대의 폐허가 갑자기 환영받기도 하며, 어떤 공간은 예기치 못한 사랑과 야유를 동시에 받는다. 공간은 그대로인데 그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면 이따금 반전을 부르기도 한다. 이에 호응하듯 꼭 건축이 아니더라도 공간을 기획하고, 설계하고, 구성하는 작업은 거의 모든 분야에서 활발해지고 있다. 공간은 무대의 스토리텔러가 되기도, 전시에서 작품을 돋보이게 하기도, 누군가에게 움직임을 제안하기도 하며 영향력을 키우고 있다.
As time goes by, people are becoming more and more interested in the spaces all around them, to the point where it is meaningless to weigh the importance of spaces. The space we want is not the same every time. Ruins of an era can suddenly be welcomed, while some spaces receive unexpected love and jeers at the same time. When a place remains the same and the perception of it changes, it sometimes leads to a reversal of the situation (from loving it to hating it, for instance). As if responding to this, the work of planning, designing, and organizing spaces—even if they are not necessarily architecture—is being more actively pursued in almost every part of society. Spaces are increasing their influence by becoming a storyteller on the stage, making works stand out in exhibitions, and leading users to move in a particular direction.

하물며 자동차는 어떠한가. 자동차는 그 자체로 오롯이 독립된 공간이다. 자동차에 머문다는 건 그 공간을 만지고 살갗으로 부딪으며 적극적으로 소비한다는 의미다. 가만히 앉아 있기도 하지만, 편안히 눕기도 한다. 창문을 열어 언제든 외부와 소통하면서도, 때로는 외부의 소음이 아늑히 들릴 정도로 독립시킬 수 있다. 좋아하는 향이 은은히 퍼지는 차는 이동할 때 안으로 들어오는 바람 냄새와 섞이며 매번 새로운 인상을 준다. 그만큼 자동차라는 공간은 공감각적이다. 기아의 새로운 디자인 철학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이하 OU)’는 기아라는 이름 아래 존재하는 모든 공간에 적용된다. 자동차뿐만 아니라 고객이 기아를 만나는 곳까지 모두 포함해서 말이다. 자동차의 첫인상을 전달하는 공간인 스토어는 기아가 추구하는 브랜드 정체성과 밀접하게 접속되는 곳이기도 하다. 기아 차량을 전시하고 판매하는 동탄역 스토어에서 기아디자인센터 SI(Space Identity)를 담당하는 한현수 책임, 인혜원 연구원 그리고 김지혜 연구원을 만났다.
How about cars, then? A car is an independent space in and of itself. Being in a car means consuming the space around you firsthand by touching it and having it come into contact with your skin. Sometimes you sit still in a car; at other times you lie down comfortably. You can open window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world at any time, but sometimes you can make the car independent enough to make the outside noise feel cozy. If the subtle spread of a favorite scent inside the car mixes with the smell of the wind entering from outside while you are driving, it always leaves you with a memorable impression. As such, the inside of a car is synesthetic. Kia’s new design philosophy, “Opposites United (OU),” applies to all spaces that exist under the name of Kia. This includes not only cars but also the places where customers come into contact with Kia. A showroom, which delivers the first impression of a car, is also closely connected with the brand identity that Kia pursues. At the Dongtan Station showroom, where Kia cars are displayed and sold, we met senior researcher Han Hyunsoo and researchers In Hyewon and Kim Jihye, all of whom are in charge of space identity (SI) at the Kia Design Center.

기아의 새로운 디자인 철학 ‘오퍼짓 유나이티드’는 기아라는 이름 아래 존재하는 모든 공간에 적용된다. 자동차뿐만 아니라 고객이 기아를 만나는 곳까지 모두 포함해서 말이다.
Kia’s new design philosophy, “Opposites United (OU),” applies to all spaces that exist under the name of Kia. This includes not only cars but also the places where customers come into contact with Kia.
그날 창밖으로 초겨울의 햇살이 밀려들고 있었다. 높은 천고를 자랑하듯 햇살은 길게 뻗어 공간 안에 한가득 들어왔다. 수직적이고, 직선적인 개방감이 느껴지는 한편 공간 안쪽을 볼수록 수평적으로 아득해지는 느낌 또한 동시에 들었다. 우리가 알던 딜러샵이 아니었다. 이런 공간을 디자인한 SI 그룹은 브랜드의 정체성과 공간의 정체성을 함께 고려하면서 어떤 어젠다를 가지고 있을지 궁금했다.
The day we met, early winter sunshine was pouring through the windows of the showroom. As if boasting a high ceiling, the sunlight stretched out and filled the entire area. You could feel a greater sense of vertical and linear openness, while at the same time the more we looked inside the space the greater the horizontal distance you felt. This was not the same showroom we had originally seen from afar. We wondered what kind of overarching plan the SI Group, which designed this space, had while considering both brand identity and space identity.
한현수 책임 : SI 그룹은 브랜드 리론칭 이후, 디자인 철학을 연계한 새로운 브랜드 공간을 만들어 가는 데 참여하고 있습니다. 자동차를 디자인하며 고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부여하는 것처럼, 브랜드 공간 역시 고객 경험을 새롭게 형성하는데 가장 중점을 둡니다.
지금까지 《KIA Design Magazine》에서 다룬 것처럼 OU의 개념은 우리 가까운 주변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만, 공간에 그 철학을 구현해내기란 쉽지 않아 보이기도 한다. SI 그룹은 OU를 공간화할 때 어느 부분에 중점을 두고 있을까?
한현수 책임 : 스토어는 고객에게 보다 직관적으로 기아 디자인 철학을 전달하는 공간입니다. 이때는 시각적 요소로 ‘대조’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만드는 데 비중을 둡니다. 반면 브랜드 체험관의 디자인 부스나 비엔날레, 모터쇼와 같은 전시장의 경우, 보다 적극적인 재질 활용이나 연출을 적용합니다. 새로운 경험을 통해 고객이 기아 디자인 철학을 온전히 느낄 수 있도록 중점을 두고 있어요.
그의 말처럼 동탄역 스토어는 공간의 명확한 대비가 눈에 띄었다. 제일 먼저 방문자를 반기는 것은 각각 다른 각도로 놓여 자태를 뽐내는 자동차다. 자동차를 보는 동안 딜러가 가까이 다가올 때 생기는 긴장감은 느껴지지 않는다. 자동차 너머로 사뭇 다른 우드톤의 공간이 보인다. 자동차를 꼼꼼히 살펴보는 열정을 불태웠을 때 저곳에서 심신을 달랠 수 있다.
Han Hyunsoo: Since Kia’s brand re-launching efforts began, the SI Group has been participating in the creation of new brand spaces associated with design philosophy. Just as with designing cars and providing customers with new experiences, brand spaces also focus mostly on shaping customer experiences.
We have covered OU extensively in KIA Design Magazine, and this concept can be found all around us. Yet it doesn’t seem easy to realize this philosophy in spaces. What specifically does the SI Group focus on when spatializing OU?
Han Hyunsoo: A showroom is somewhere that delivers Kia’s design philosophy more intuitively to customers. At present, the focus is on making easily recognizable contrasts at a glance through visual elements. On the other hand, for exhibition venues such as a design booth at a brand experience hall, a biennale, or a motor show, we are more focused on the active use of different materials and presentation methods. Instead, the focus is on helping customers viscerally feel Kia’s design philosophy through new experiences.
As Mr. Han said, the clear contrast between spaces stood out at the Dongtan Station showroom. The first thing that visitors will notice is that all the cars are placed at different angles to highlight their appearance. Thus, visitors don’t feel the tension that often arises when a dealer approaches them while looking at the cars. One example of this contrast between spaces is the very different wood tone section of the showroom you can see over the cars, soothing the mind and body.
인혜원 연구원 : 스토어는 고객들과 직접 대면하는 장소인 만큼 고객 경험 측면으로써의 OU는 무엇인지 고민을 많이 했어요. 문화적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미술관을 찾아가는 것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죠. 기존 스토어는 차량 판매에 중점을 둔 도시의 부속품 같은 느낌이 있었어요. 새로운 스토어는 미술관처럼 느끼게 하고 싶었어요. 그래서 자동차가 마치 견고한 작품처럼, 오브제처럼 느껴지게 공간을 연출했습니다. 고객이 부담 없이 편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말이죠.
In Hyewon: As a showroom is a place where Kia greets its customers directly, we thought a lot about OU and how it could be used in terms of the customer experience. We gained ideas from visiting art museums to satisfy our cultural needs. In the past, the showroom felt more like an urban accessory focusing on the sales of vehicles. We wanted to make the new showroom feel more like an art museum. As such, the space was designed to make a car look like a true work of art or an inspiring object so that customers would feel completely at ease when approaching each vehicle.
“새로운 스토어는 미술관처럼 느끼게 하고 싶었어요. 그래서 자동차가 마치 견고한 작품처럼, 오브제처럼 느껴지게 공간을 연출했습니다.”
We wanted to make the new showroom feel more like an art museum. As such, the space was designed to make a car look like a true work of art or an inspiring object so that customers would feel completely at ease when approaching each vehicle.
공간을 디자인하는 건 확실히 그곳에 머무는 사용자의 행동을 디자인하는 것과 밀접하게 엮인다. SI 그룹은 자동차를 하나의 오브제로 감상할 수 있는 ‘전시존’과 우드톤의 내추럴한 휴식 모드를 부여한 ‘고객존’으로 스토어를 뚜렷하게 나누었다. 여기에 사용한 재료는 각각 극명하게 다를뿐더러, 전시존에는 직선적인 느낌을 고조하고, 고객존에는 라운드 엣지를 주는 등 재료에 부여한 느낌도 무척 다르다. OU가 직관적으로 느껴졌다.
인혜원 연구원 : 둘로 나눠진 무드를 뚜렷하게 표현하기 위해 상반된 재질과 형태의 특징을 부여했어요. 고객존은 둥근 모서리와 따뜻한 간접조명, 우드톤으로 내추럴한 느낌을 줬어요. 집 같은(home-like) 느낌으로 고객들이 편안하게 머물 수 있게요. 반면 전시존은 모던함과 무채색, 은은한 리플렉션으로 개방감을 느끼게 구성했고, 미래적이고 오토모티브한 느낌을 연출했어요.
김지혜 연구원 : 전시존은 기능적으로 온전히 차량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이에요. 레이어를 다르게 한 고객존은 편안한 상담을 위해 안쪽에 따로 분리되어 있지요. 여기에는 우드의 라운드 엣지와 간접조명을 활용했어요. 반면 전시존은 직선의 스트라이프 조명만 사용해 메탈과 함께 차가운 느낌을 강조하며 대비를 주었죠.
공통점이라고는 쉽게 찾아볼 수 없지만 분명 하나의 장소인 이 두 공간의 접면을 상징하는 요소가 하나 있다. 바로 ‘인피니티 루프Infinity Loop’다. 보통의 공간에서 쉽게 선택하지 않는 역동적인 사선의 분리 경계선이 당연 눈에 띈다.
Designing a space is closely related to designing how users who are actually there will react. The SI Group clearly divided the showroom into an “exhibition zone,” where you can enjoy cars as truly special objects, and a “customer zone” to relax in with its natural wood tone. The materials used for the two zones are distinctly different, and the impressions lent to the materials are also quite distinct. For example, a linear impression was enhanced in the exhibition zone, while round edges were used in the customer zone. As a whole, OU could be felt intuitively throughout the area.
In Hyewon: In order to distinctly express the clearly divided moods, we applied contradictory materials and morphological features. The customer zone exhibits a natural impression through round corners, warm indirect lighting, and a wood tone to ensure customers feel at home. For its part, the exhibition zone is organized with modern aesthetics, achromatic colors, and subtle reflections to present a futuristic and automotive atmosphere.
Kim Jihye: The exhibition zone is a functional space where you can fully focus on vehicles. The customer zone, on a different layer, is separated inside the store for comfortable consultation. For this zone, we used round edges of wood and indirect lighting. On the other hand, in the exhibition zone, we only used straight stripe lighting to emphasize the cold impression left behind with the metal, in stark contrast to the customer zone.
Although it is not easy to find something in common between both zones, there is definitely one element that symbolizes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spaces in one showroom: the “infinity loop.” The dynamic diagonal line used for the purpose of separation, which is not often chosen for ordinary spaces, naturally stands out.
인혜원 연구원 : 스토어를 구상하던 초기, 기본 육면체인 공간을 고객을 맞이하는 공간과 차량을 전시하는 공간으로 구성하기 위해 반으로 자르듯 나눴어요. 역동적인 느낌을 강조하기 위해 반으로 잘린 면이 위에서 아래로 쏟아질 것처럼 기울이고 비틀어보기도 했죠. 여러 고민 끝에 반으로 잘린 면이 공간에 띠 형태로 남아 인피니티 루프가 된 거예요. 인피니티 루프는 기아의 디자인 철학인 OU에서 말하는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의 무한한 확장성과 혁신성을 찾기 위해 끊임없이 반복한다는 의미가 있어요.
In Hyewon: In the early days of planning the showroom, the basic hexahedral space was divided in half to include a space for welcoming customers and a space for displaying vehicles. To emphasize the dynamic impression, we tried tilting the sliced plane as if it were pouring from top to bottom, or twisting it. After considering this for some length of time, the sliced plane remained in the shape of a band in that particular space and became an infinity loop. An infinity loop means the constant repetition to find the infinite scalability and innovation of the “creative convergence of opposite concepts” in OU, Kia’s design philosophy.
“인피니티 루프는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의 무한한 확장성과 혁신성을 찾기 위해 끊임없이 반복한다는 의미가 있어요.”
An infinity loop means the constant repetition to find the infinite scalability and innovation of the “creative convergence of opposite concepts” in OU
띠 형태로 남은 인피니티 루프는 붉은색 조명으로 드러난다. 전시존에 놓인 자동차의 광택에 반사되는 붉은 라인이 기아의 상징적인 색상을 떠올리게 한다.
The infinity loop remains in the form of a band, and is revealed through red lighting. The red line reflected on the gloss of the cars in the exhibition zone matches Kia’s brand color perfectly.
김지혜 연구원 : 새로운 기아 CI 컬러 시스템에는 기본 색상 이외의 포인트 색상으로 ‘기아 라이브 레드Kia Live Red’가 있는데, 이번 인피니티 루프에 사용했어요. 인피니티 루프의 레드는 역동적인 에너지를 표현하는 동시에 기아의 헤리티지를 상징하기도 해요. 예전 기아의 상징성을 계승하는 차원으로 접근했죠.
모두 자동차 디자인으로 시작해 이제는 공간 디자인을 다루고 있는 그들에게 어떤 영역의 차이가 있는지 궁금했다. 자동차를 독립된 공간으로 본다면 다르지 않을 수 있겠지만, 2평 남짓한 공간에 기술과 감성을 집약하는 자동차 디자인과 고객 경험의 시작 및 전개를 설계하는 공간 디자인은 꽤 다른 영역이지 않겠는가.
인혜원 연구원 : 자동차 외장 디자이너로서 자동차와 새로운 브랜드 가치, 그리고 OU에 대한 이해도를 활용해 자동차가 있는 공간을 더 특별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항상 고객에게 매력적이고 감각적으로 어필할 수 있는 오브제에 대해 구상하곤 했는데, 그 오브제로서의 자동차를 아우르는 공간까지 디자인하는 것은 자동차의 매력을 더 증폭시키는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자동차 디자인에서는 자동차 자체가 빛날 수 있도록 집중했고, 공간 디자인에서는 그 이해도를 바탕으로 자동차와 공간이 함께 어우러질 수 있도록 한 것이죠.
Kim Jihye: Kia’s new CI color system has “Kia Live Red” as a point color besides basic colors, and we used Kia Live Red for this infinity loop. The red color of the infinity loop expresses dynamic energy and symbolizes Kia’s heritage at the same time. We approached it as a way to inherit and pass on Kia’s earlier symbolism.
The researchers all started in the field of car design and now they are dealing with spatial design. We wondered what differences they noticed in these two processes. If you view a car as an independent space, car design and spatial design don’t seem to be very different. Yet car design, which concentrates technology and sensibility in a space of about 6 to 7 square meters, and spatial design, which designs the beginning and development of the customer experience, appear to be quite different areas of expertise.
In Hyewon: As an exterior car designer, I believe that I can design a space with cars in a more special way by using my understanding of automobiles, new brand values, and OU. I have always thought of objects that could appeal to customers in a stunning and astonishing way, and I think designing a space that encompasses cars as objects to be an opportunity to further amplify the appeal of cars. In car design, we focused on making the car itself shine, and in spatial design, based on that understanding, we brought about a place where cars and the space they occupy could be in harmony.

공간은 그곳에 있는 사물의 주목도를 높이기 위해 설계하면서 동시에 공간에 형성되는 분위기와 에너지를 관장한다. 어떠한 익숙함이 머물도록 만들어 낯선 영역을 친밀하게 바꾸기도 한다. 언어와 태도로 강조되었던 OU가 현실에 물질화된 모습의 모든 장면은 무척 독특한 경험을 선사했다. 세상에 없던 자동차를 만들어내는 것처럼 세상에 없던 공간을 만들어내는 작업은 그 자체로 새로운 시도이자 경험이다. OU에 집중한 급진적인 설계가 낯설게 다가오면서도, 한편으로는 자동차의 요소를 공간화한 것 같은 긴밀한 연결성도 발견된다. SI 그룹에게 스토어는 더이상 영업의 관점에 국한되는 곳이 아니었다. 기아의 새로운 디자인 철학을 직관적으로 느끼고, 자동차를 공간으로 경험하는 이상적인 장소를 만들어내는 것. 기아가 추구하는 디자인 혁신의 범주는 무한히 확장 중이다.
As we design somewhere in order to enhance people’s attention to objects placed in front of them, we control the atmosphere and energy that is formed in that space. Sometimes we change an unfamiliar zone into a familiar one by making a certain familiarity linger on. The language and attitudes that OU has long emphasized have been turned into a reality, so all the scenes of the showroom now provide very unique experiences. Just like building a car that previously did not exist in the world, creating a space that did not previously exist in the world is itself something new for people to experience. Although the radical design that focuses on OU feels unfamiliar at first, a close connection with car design can also be found, almost as if the elements of a car are expressed as their own specific space. For the SI Group, a showroom was no longer merely limited to a place of sales. They tried to create an ideal destination where visitors could intuitively feel Kia’s new design philosophy and experience cars as their own unique spaces. Today, Kia is pursuing design innovation that is infinitely expanding.
글 박수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독립 큐레이터. 전시기획사 ‘에이전시 뤄뤼AGENCY RARY’를 운영한다. 독립문화공간 ‘아지트’ 큐레이터, 미술문화비평지 《B-art》 편집팀장, 《2017 제주비엔날레》 큐레토리얼팀 코디네이터, 통의동보안여관 큐레이터로 일했다. 《7인의 지식인》(2020), 《줌 백 카메라》(2019), 《정은영 : 어리석다 할 것인가 사내답다 할 것인가》(2018), 《김정헌X주재환 : 유쾌한 뭉툭》 (2018), 《민중미술2015 : 우정의 외면》(2015) 등을 기획했다. ‘Korea Research Fellow: 10×10’(2018, 2019), ‘두산 큐레이터 워크샵’(2019)에 선정된 바 있다.
Contributor Park Suzy
Park Suzy is an independent curator based in Seoul. She runs an exhibition agency called AGENCY RARY. She has worked as a curator at the independent culture space Agit; as editor-in-chief for B-art, a critical journal on arts and culture; a coordinator of the curatorial team of the Jeju Biennale 2017; and a curator for BOAN 1942, an art space in Seoul. She has curated exhibitions such as Seven Intellectuals (2020), Zoom Back Camera (2019), Siren Eun Young Jung: Foolish or Mannish (2018), Kim Jungheun X Joo Jaehwan: Pleasantly Bluntly (2018), and Minjung Art 2015: Freundschaft (2015). Park was also selected for the Korea Research Fellow 10×10 project (2018, 2019) and the Doosan Curator Workshop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