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적 미지: 다섯 개의 기둥에 대해
The Universal Unknown Resting on Five Pillars
이제 우리의 질문은 ‘어떻게’로 가득 채워지고 있습니다. 어떻게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만들 것인가요? 어떻게 혁신적인 기술을 활용할 것인가요? 어떻게 위기를 극복할 것인가요? 어떻게 소비할 것인가요? 어떻게 타인을 도울 것인가요?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요? ‘어떻게’란 단지 형태와 방법에 관한 것뿐만 아니라 대상을 다루는 태도와 관점에 대한 접근이자, 사고의 원리에 관한 것입니다. 기아의 새로운 디자인 철학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Opposites United)’ 역시 ‘어떻게’라는 질문을 품고 출발했습니다. 고정적인 것과 유동적인 것 사이에서, 과거와 미래 사이에서 축적되는 선택과 혁신은 그것 자체로 하나의 운동성을 갖습니다. 아래 이어지는 ‘다섯 개의 기둥(5 Pillars)’은 ‘어떻게’로 시작하는 질문이 드러내는 여러 결의 예시를 보여줍니다.
Now our questions are filled with “how”? How can we make sustainable energy? How can we apply innovative technology? How can we overcome crises? How can we consume goods? How can we help others? How will we continue to thrive? “How” is not just about form and procedures, but an approach and perspective to deal with the issue or target and the principle of thinking in the most sensible way possible. Kia’s new design philosophy, “Opposites United,” also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how.” Between what is fixed and what is flexible, the choices and innovations accumulated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has a certain mobility in itself. The following five pillars highlight many examples that are revealed by questions starting with “how.”
“기아의 새로운 디자인 철학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은 ‘어떻게’라는 질문에서 출발했습니다. 이 질문이 드러내는 여러 결의 예시를 ‘다섯 개의 기둥’이 보여줍니다.“
Between what is fixed and what is flexible, the choices and innovations accumulated between the past and the future has a certain mobility in itself.
자연과 조화되는 대담함(Bold for Nature) – 인간의 선택을 포용하는 목적 없는 자연
자연의 아름다움과 불규칙한 조화에서 얻을 수 있는 영감은 다채롭습니다. 상반된 것들의 조합이기도 한 자연의 질서는 인간과 다른 생명체에게 필수 불가결한 조건이자, 그 자체로 역동적인 균형의 상태이기도 합니다. 이때 ‘자연과 조화되는 대담함’은 인공물이 자연 속에 놓여 있어도 기존의 조화를 방해하지 않고, 때로는 자연에 비추어 대담하게 돋보이는 상태를 일컫습니다. 자연과 경쟁하지 않고 서로 다른 특성이 어울리도록 조율하는 디자인은 ‘자연과 조화되는 대담함’을 지향합니다. 자연에 대한 존중과 감사, 그리고 자연과 더불어 사는 미래에 대한 발언입니다.
Bold for Nature: Embracing Humanity within Nature
We gain much inspiration from nature’s natural beauty and sometimes difficult-to-understand harmony. The natural order—or the combination of opposite elements—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humans and other living creatures, and is a dynamic state of balance in and of itself. Kia’s “Bold for Nature” initiative also refers to the condition of an artificial object placed in nature that does not hinder the original harmony, and sometimes boldly stands out against the backdrop of nature. It is not about competing with nature, but coordinating the design so that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design and nature can be harmonized. There is a synchronicity of existence despite their differences. This leads to designs that pursue the “Bold for Nature” principle. Above all, this is a statement that honors the future with respect and gratitude for nature and an intention to be in harmony with nature.

대지미술가 마이클 하이저의 〈공중에 떠 있는 돌(Levitated Mass)〉은 ‘자연과 조화되는 대담함’을 잘 보여주는 작품일지도 모릅니다. 하이저가 1969년 처음 떠올린 이 작품은 그로부터 40여 년이 지난 2006년 실행되었습니다. 그는 폭파된 바위산에서 떨어져나온 높이 6.7m, 무게 340t의 화강석을 마치 공중에 떠 있는 것처럼 전시하고자 했습니다. 채석장에서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으로 바위를 운송하기까지 176개의 바퀴가 달린 특수 차량이 필요했고, 170km 거리를 야밤에만 천천히 움직이는데 꼬박 11일이 걸렸습니다. 이제 사람들은 거대한 바위 밑을 지나다니며, 바위의 존재를 각자 상상하는 중력으로 감각합니다.
자연은 이렇게 즉각적인 영감을 주기도 하고, 한 번도 상상해보지 못한 창조적인 과정을 허락하기도 합니다. 아무나 쉽게 시도하지 못하는 규모로 작업하는 대지미술가의 작품은, 자연의 선택을 적극적으로 환영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자연은 문명을 포용할 뿐, 대척점에 있는 게 아닐 것입니다. 자연은 언제나 인간과 인간의 목적을 포함한 ‘있음’ 그 자체였습니다. 자연을 닮는 것이 아니라, 자연 그 자체로서 자연을 디자인한다고 생각할 때 우리의 사고는 자신에 대한 존중과 자신 이외의 것에 대한 존중을 온전히 받아들일 수 있을 것입니다.
Land artist Michael Heizer’s work Levitated Mass is a good example of “Bold for Nature.” The work, which Heizer first conceived in 1969, was carried out in 2006, almost 40 years later. He wanted to display a 340-ton, 6.7-meter-high piece of granite from the exploded rocky mountain as if it were floating in the air. Transporting the rock from the quarry to the Los Angeles County Museum of Art required a special vehicle, one with 176 wheels, and they had to drive slowly at night only for a full 11 days spanning 170 km. Now people pass under the huge rock and can sense the existence of the rock with the gravity they intuitively imagine.
Nature can be such an immediate inspiration and allow for a creative process that has never been imagined. The work of the land artist who works on a scale that ordinary artists cannot easily attempt was made possible because Heizer welcomed nature into our lives. Nature includes civilization and will not be its exact opposite. Nature has always been existence itself, and that includes humans and human purposes. When we think of designing nature—not something that simply resembles nature—our thoughts are able to fully respect ourselves and form a respect for things other than ourselves.
“자연과 경쟁하지 않는 디자인, 서로 다른 특성들이 어울리게 조율하는 디자인은 ‘자연과 조화하는 대담함’을 지향합니다. 자연에 대한 존중과 감사를 담아 자연과 더불어 사는 미래를 그립니다.“
Nature has always been existence itself, and that includes humans and human purposes.
이유 있는 즐거운 경험(Joy for Reason) – 경험으로 가능해지는 기쁨
기쁨의 감정은 이성의 논리와 거리가 멀어 보입니다. 이성의 논리는 기쁨의 감정을 재단하고 통제할 것만 같습니다. 기술적인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은 대체로 이성과 논리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입니다. 안전을 보장하는 정밀함과 정확성은 그만큼 유동성과 변수를 제한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디자인과 이성 혹은 논리와의 상관관계는 어떻게 바라볼 수 있을까요?
기술은 물질의 제작과 작동을 위한 것이지만, 궁극적으로 사용과 경험이 목적입니다. 자동차를 잠시 들여다보는 것만으로도, 이성의 논리와 기쁨의 감정은 긴밀한 상호 관계를 맺는다는 점을 눈치챌 수 있습니다. 자동차 안의 조명이 사용자의 감정과 컨디션, 재생되는 음악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논리적이고 효율적이며 기술적인 구현의 차원입니다. 하지만 기술의 발상은 사용자가 누릴 기쁨의 감정을 미리 공감하는 데에서 출발합니다.
Joy for Reason: Joy That Is Made Possible through Experience
The feeling of joy would appear far from the logic of reason. The logic of reason seems to judge and control the feeling of joy. The conditions that enable the realization of technology is generally based on reason and logic. Precision and accuracy, guaranteed safety, meaning it requires controlling flexibility and variables. If this is the case, what should we think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design and reason or logic?
Technology ultimately aims at the highest level of use and experience. Just by looking into a car for a short time, you can notice that the logic of reason and the feeling of joy are closely interrelated. It is essentially at the level of a logical, efficient, and technical implementation that the lights in a car can change depending on the user’s emotions and their physical condition, including everything up to the music being played. However, the idea of technology starts with understanding the feeling of joy for drivers and passengers in advance.
Official trailer for the road documentary <‘Visages, Villages’ > (2017), which depicts the special journey of film director Agnes Varda and photographer JR. © Madman Films
2017년 프랑스 누벨바그의 거장 아녜스 바르다(1928-2019)는 그래피티 아티스트이자 포토그래퍼 JR(1983-)과 함께 로드무비를 찍었습니다. 둘은 55살의 나이 차이가 무색하게 JR의 포토 트럭을 타고 프랑스 곳곳을 다니며 우연한 장면들을 포착하고, 만난 사람들을 찍은 후 트럭에서 대형 출력을 해 도시 이곳저곳에 부착했습니다. 특별한 목적 없이 떠난 여정은 수많은 만남과 짧고 강렬한 커뮤니티를 형성했으며, 또 과거를 현재에 가져오기도, 현재를 미래에 가져다 두기도 하는 시간이었습니다. 더불어 티끌 없이 순수한 움직임의 즐거움이었지요.
아녜스 바르다와 JR의 포토 트럭처럼 모빌리티의 혁신은 사용자가 자동차에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 자동차와 연결되었을 때 어떤 경험을 가져가는지에 대한 고민과 직결될 것입니다. ‘이유 있는 즐거운 경험’은 이처럼 이성의 깊이를 여러 겹의 경험으로 바꿔 상상할 때 발생하는 다채로운 기쁨입니다. 운전의 즐거움과 움직임의 즐거움은 사용자가 아직 꺼내지 않은 질문에 먼저 대답할 수 있을 때 생겨납니다. 속도는 기술과 논리, 이성의 문제이지만, 그것으로 발생하는 기쁨은 경험의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즐거움은 언제나 자동차의 일부입니다.
In 2017, Agnès Varda (1928-2019), a great filmmaker of the French New Wave film movement, shot a road movie with graffiti artist and photographer JR (1983-). Although the two had an age difference of 55 years, they traveled around France in JR’s truck in an effort to capture accidental scenes. They took photographs of people they met and printed them out as large pictures from the back of the truck so that they could attach them all around different cities. The journey, which originally had no special purpose, led to numerous encounters with strangers and many powerful communities that lasted even if for a short time. It was also a moment to bring the past to the present and the present to the future. Finally, it represented the spirit and joy of movement.
Like Agnès Varda and JR’s photo truck, innovation in mobility will be affected by how drivers and passengers are influenced by cars and what experiences they go through when connected with vehicles. “Joy for Reason” represents a variety of joy that can arise when we can imagine the depth of reason by turning it into multiple layers of experience. The joy of driving and movement occurs when the questions that people have not yet asked can be answered. Speed is a matter of technology, logic, and reason, but the joy arising from it is in the realm of experience. As people have known for more than a century, joy is always part of an automobile.
“‘이유 있는 즐거운 경험’은 이성을 여러 겹의 경험으로 바꿔 상상할 때 나오는 다채로운 기쁨을 뜻합니다. 속도는 기술과 논리의 문제이지만, 그것에서 발생하는 기쁨은 경험의 영역입니다. 즐거움은 언제나 자동차의 일부입니다.“
The joy of driving and movement occurs when the questions that people have not yet asked can be answered.


미래를 향한 혁신적 시도(Power to Progress) – 보이지 않는 것을 보여주는 자
20세기 초 과학기술과 생명공학의 발달은 예술과 철학 전반에 영향을 미쳤고, 특히 추상미술을 급진적으로 전개했습니다. 그러나 추상미술의 선구자로 알려진 칸딘스키, 말레비치, 몬드리안보다 무려 10여 년 앞서 추상미술을 그렸던 이가 있었으니 스웨덴의 여성 화가, 힐마 아프 클린트(1862-1944)입니다. 그는 대중들이 자신의 작품을 이해하지 못할 것을 우려해 사후 20년 후 작품을 공개하라는 유언을 남겼는데요. 지금 보더라도 위화감이 없는 놀라운 추상적 구성을 갖고 있으며, 색을 쌓거나 조형을 배열하는 감각은 동시대 작품이라 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입니다. 2018년에는 평생 보이지 않는 세계, 보이는 것 너머의 세계를 탐구했던 아프 클린트의 대규모 회고전 《미래를 위한 그림》이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서 열리기도 했습니다.
Power to Progress: The One Who Shows What Is Invisible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influenced the fields of art and philosophy, and rapidly developed abstract art. Hilma af Klint (1862-1944), a Swedish artist who created abstract paintings, was particularly instrumental in this area of art, more than 10 years before Kandinsky, Malevich, and Mondrian, all of whom are known as pioneers of abstract art. She left a will to release her works to the public 20 years after her death, worrying that the public could not understand her works. Her paintings had remarkably abstract compositions that do not seem outdated even today, and her sense of layering colors and arranging forms is comparable to that of contemporary works. In 2018, Hilma af Klint’s large-scale retrospective exhibition Paintings for the Future was held at the Guggenheim Museum in New York. Throughout her life, she explored the invisible world and the world beyond what is visible.
위 사례처럼 혁신은 아직 오지 않은 미래에 대한 강렬한 믿음을 기반으로 기다림의 시간을 채워나가는 지난한 여정인지도 모릅니다. 기아는 지속해서 진보를 위한 동력을 만들어오고 있으며, 이러한 발전적 동력은 의지력이자, 기술에 대한 혁신적 시도이자, 섬세한 개념의 조합 그 자체이자 그것을 대하는 태도에 관한 것이기도 합니다. 쉽게 확신할 수 없는 만큼 보이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미래는 앞서 말한 진취적인 태도로 매번 새롭게 제안되고 있습니다. 그때마다 우리는 제안한 만큼 혁신의 경험을 쌓아가며 미래를 맞이할 수 있을 것입니다.
As in the case of Hilma af Klint, innovation might be a very challenging journey to fill the time of innovation based on an intense belief of a future that has yet to come. Kia has continuously created driving forces for progress. These proactive driving forces are about willpower, innovative initiatives related to technology, the combination of delicate concepts surrounding technology, and people’s attitude towards innovation. The future is often considered invisible because we cannot be easily convinced of it, but it is newly defined over and over again by the aforementioned progressive attitude. Each time this happens, we are able to face the future as we gain the same amount of experience as we have proposed innovatively.
이처럼 새로운 선택은 축적한 경험을 기반으로 이루어집니다. 경험을 다채롭게 구성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은, 보이지 않는 세계를 바라보던 한 예술가의 평생에 걸친 열망처럼 무한한 계기들을 만들어낼지 모릅니다. 기아는 그동안 스스로 배우고 경험했으며, 그 배움과 경험을 더 많은 사람과 나누는 것을 사명으로 삼아 왔습니다. 기아가 고려하는 휴머니즘은 미래를 향한 혁신적 시도와 맞물려 예측 불가능한 미래의 시간을 현재의 과제로 가져옵니다.
As such, new choices are made based on accumulated experience. The time and effort spent on creating a variety of experiences may create infinite opportunities, just like an artist’s life-long desire to “see” the invisible world. Kia has learned to make it the company’s mission to share its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more and more people. In conjunction with innovative attempts toward the future, Kia brings together a true sense of humanism with the unpredictable future and present-day tasks.
“쉽게 확신할 수 없으며 보이지 않는 먼 미래는 매번 진취적인 태도로 새롭게 제안되고 있습니다. 기아가 고려하는 휴머니즘은 미래에 대한 혁신적 시도와 맞물려 예측 불가능한 미래를 현재로 끌어옵니다.“
In conjunction with innovative attempts toward the future, Kia brings together a true sense of humanism with the unpredictable future and present-day tasks.
인간의 삶을 위한 기술(Technology for Life) – 치유와 연결을 매개하는 언어
‘인간의 삶을 위한 기술’은 어쩌면 아주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지도 모릅니다. 우리는 때때로 자동차 안에서 그저 시간을 보낼 때가 있습니다. 목적지에 도착했지만 별 이유 없이 내리지 않고 자동차에 머물기도 하고, 하루의 일과를 떠올리며 흘러나오는 음악이 끝나기를 기다리기도 합니다. 확실한 사적인 공간일 때, 자동차는 사용자에게 평온하고 아늑한 치유의 시간을 제공합니다. 자율주행을 하며 영화를 보거나, 이메일을 쓰거나, 더 많은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도 있겠지만, 과연 더 많은 스크린과 정보가 ‘인간의 삶을 위한 기술’이 될 수 있을까요?
Power to Progress: The One Who Shows What Is InvisibleTechnology for Life: Language That Mediates Healing and Connection
Perhaps technology has made life for humans simple and intuitive. Sometimes we simply spend time in a car. Even after reaching a destination, we stay in the car for no reason, or wait for the music to stop playing, thinking of how the day was. Clearly a private and personal space, a car provides people with somewhere they can relax and feel at peace. We may watch movies, write emails, or send text messages while driving autonomously, but can more screens and information be the true meaning of technology for humans?
기술은 너무도 중요하지만, 기아는 자동차에 들어가는 기술의 양을 강조하는 선택을 하지 않습니다. 기술은 궁극적으로 우리가 지향하는 가치의 일부이자 도구와도 같습니다. 지금 우리가 계기판으로 부르는 부분이 사실 안내 데스크나 커뮤니케이션 데스크처럼 정보를 주고받는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장소라면, 단순히 계기판이라는 장치의 기능과 이름에 그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결국 기술의 진정한 의미는 인간의 삶에 있어 중심이 되는 요소를 어떻게 연결할지에 관한 통찰력의 문제입니다. 기아의 디자인은 기술이 사용자를 압도하지 않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것을 보완합니다.
At Kia, technology is extremely important, but the company does not emphasize the quantity of technologies that go into a car. Technology is ultimately part of the values we pursue and is like a tool. If the part of the vehicle we call a dashboard is actually a place where information exchange takes place, it may not be a simple dashboard. After all, the true meaning of technology is a matter of insight into how to connect key elements in people’s lives. Kia’s designs do not make technology overwhelm users, but complements what people need.

이제 인간과 기술은 한쪽이 다른 한쪽을 일방적으로 바꾸는 일방향의 관계가 아닙니다. 인간이 기술을 바꾼다는 관점은 이제 기술 역시 인간을 바꾸고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삶을 위한 기술’의 언어로 소통하려면 어떤 디자인이 필요할까요? 인간과 인간 사이의 연결, 인간과 기술 문명 사이의 연결은 이미 자연처럼 다가와 있습니다. 인간과 인간 사이의 접촉이 인간을 해롭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버린 때조차 우리는 더욱 연결을 소망합니다. 다만 연결의 대상과 목적, 방법과 태도는 늘 새롭게 탐구되어야 합니다. 디자인은 하나의 언어로써, 연결의 매개자이자, 설계자로서 인간의 감촉과 온도를 어떤 기술로 구현할지를 큐레이션합니다.
Today, neither humans nor technology changes anything unilaterally. We all know that humans change technology, but it is now recognized that technology is also changing humans. What kind of design is needed to communicate in the language of “Technology for Life”? The connection between people and technology, or the connection between humans and technological civilization, has already been with us like nature for time immemorial. When we learned that human-to-human contact can harm humans, we hope for connection even more. However, the target, purpose, method, and attitude of connection need to be newly explored all the time. Design is a language, and as a mediator and designer, it curates how technology can be used to represent who we are as people.
“디자인은 언어인 동시에 연결의 매개자로써 인간의 감촉과 온도를 어떤 기술로 구현할지 큐레이션합니다. 연결의 대상과 목적, 방법과 태도는 늘 새롭게 탐구되어야 합니다.“
Design is a language, and as a mediator and designer, it curates how technology can be used to represent who we are as people. the target, purpose, method, and attitude of connection need to be newly explored all the time.
평온 속의 긴장감(Tension for Serenity) – 동일하면서도 다른 것들 사이의 새로운 균형
서로 다른 것 사이의 균형은 우리의 생각을 강화합니다. 우리는 때때로 혼돈에서 질서를 가져오며, 질서에서 혼돈을 찾아내기도 합니다. 그 결과물은 실체가 있을 수도, 무형의 개념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상호 작용 사이에서 찾아내는 균형과 평온함에 맥락을 부여하는 것이 바로 긴장입니다. 모든 것이 쉼 없이 변화하는 세계에서 디자인은 순간마다 어떤 균형점을 찾아낼까요?
Tension for Serenity: A New Balance between Similar but Different Things
The balance between different things strengthens our thinking. We sometimes bring order from chaos, and sometimes find chaos from order. The result of these thoughts can be either tangible objects or intangible concepts. However, it is tension that gives context to the balance and tranquility found in the midst of these interactions. In a world where everything is constantly changing, what balance point is design finding?
Seungmu, a traditional Korean dance where serenity and tension, stillness and dynamism harmonize to lead the movement.© NATIONAL GUGAK CENTER
‘평온 속의 긴장감’은 주변의 모든 조형 요소에서 발견가능한 에너지입니다. 건축물이 굳건히 서는 비결은 수많은 긴장과 힘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 가지 예로, 나무, 흙, 돌로만 이루어져 있는 전통 한옥의 구조는 못 하나 쓰지 않고 나무의 짜맞춤만으로 만들어 오랜 수축과 이완에도 탄성을 가지며 1000년의 세월을 견뎌냅니다. 또 하나의 예로 흰 장삼에 붉은 가사를 매고 흰 고깔을 쓰고 추는 전통춤인 승무를 묘사한 조지훈의 시 「승무」에 등장하는 시구는 ‘평온 속의 긴장감’을 선명히 보여줍니다.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 돌아설 듯 날아가며 사뿐히 접어 올린 외씨보선”, “휘어져 감기우고 다시 접어 뻗는 손”과 같은 묘사는 빠름과 느림을 무수한 완급으로 조절하는 한국 전통춤의 호흡을 공감각적으로 상상하게 돕습니다. 점, 선, 면의 구성 요소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생기는 운동성은 우리가 늘 고심하는 다면성과 조화의 동세입니다. 칸딘스키는 따뜻함과 차가움, 수평성과 원심성, 밝음과 어두움 같은 대립쌍(opposite pair) 사이에서 긴장의 감각을 발견했습니다. ‘예민한 노랑’과 ‘차분한 파랑’의 이상적인 균형에서 초록을 새롭게 사용했습니다. 한 예술가의 특수하고 단일한 시도에 그치지 않습니다. 이미 우리의 역사에서 수많은 혁신의 과정을 목격했습니다.
“Tension for Serenity” is also the energy found in all the surrounding formative elements. A building can stand firmly because a great deal of tension and forces are balanced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the structure of a hanok (traditional Korean home) that consists of only wood, soil, and stones is made by assembling pieces of wood without nails. Such a structure is elastic in that it can endure long-time contraction and expansion for over 1,000 years. Another example is Cho Chi-hun’s poem The Dance of the Buddhist Nun. It describes a traditional dance in which a dancer wears a white robe, a red single-layered dharma robe, and a sheer white silken hood. Some lines in the poem clearly show “Tension for Serenity.” Descriptions such as “Her long sleeves ‘gainst heaven spread with no bound, And tiny cloth-socks, folded gently, fly as if to turn around,” “Her hands, wrapping around flexed then extending up-folded ‘gain” allows the reader to imagine the tempo of a traditional Korean dance consisting of countless parts of slowness and speed in a synesthetic way.
이처럼 긴장과 역동으로부터 취할 수 있는 균형점은 혼란과 고요 사이의, 빠름과 느림 사이의 완급을 받아들이는 일이기도 합니다. 유연한 수용과 이해 안에서 우리의 사고는 순간적인 자유로움을 더욱더 자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진 상태를 하나의 균형 있는 경험으로 드러내는 ‘평온 속의 긴장감’의 여러 순간은 우리의 발견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This balance point that can be taken from tension and dynamics is also related to accepting the tempo between confusion and quietness, and between speed and slowness. In flexible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ur thinking will acquire momentary freedom more often. Several moments of “Tension for Serenity” that reveal a balanced experience await our discovery.
“유연한 수용과 이해를 통해 우리의 사고는 더 자주 자유로워집니다.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진 상태를 하나의 균형 있는 경험으로 드러내는 ‘평온 속 긴장’을 담은 여러 순간은 우리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합니다. (…) 모순되는 것들에서 뜻밖의 조합을 발견하는 게 창조의 단초가 되기도 합니다. 개념에서 출발한 무형의 디자인이 누군가에게 경험을 주는 사물이 되는 것, 이렇게 의도와 결과를 연결하며 ‘다섯 개의 기둥’은 무수한 진동을 만들어냅니다.“
In flexible acceptance and understanding, our thinking will acquire momentary freedom more often.
‘다섯 개의 기둥’은 OU를 해석하고, 발견하고, 발전시키는 사고의 확장된 경계를 제안합니다. 개성 있는 독해에 따라, 상반되는 요소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디자인으로 귀결되는 경로는 무궁한 경우의 수를 가질 것입니다. 이는 기아의 디자인을 조화시키면서도 오롯한 개별성을 담보할 것이라 기대합니다. 모순되는 것들 사이의 조합은 뜻밖의 발견과 창조의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관념과 개념으로 출발한 무형의 디자인이 누군가에게 경험을 주는 사물이 되는 것, 즉 의도와 결과를 연결하며 ‘다섯 개의 기둥’은 무수한 진동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상반되는 것들 사이의 창의적 융합은 보편적 미지의 영역을 탐험할 때 쓰는 나침반과 같습니다. 나침반의 자력을 만들어내는 ‘다섯 개의 기둥’은 각자 있는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을 가리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공통의 나침반을 갖고 있을 때, 기아 디자인 철학을 관통하는 하나의 조화로운 경험도 기대해봄 직하지 않을까요.
The five pillars suggest an extended boundary of thinking that interprets, discovers, and develops OU. Depending on your own unique way of interpreting things, the path through which the interaction between conflicting elements results in design has an infinite number of outcomes. We expect that the five pillars will be able to harmonize Kia’s design while guaranteeing its full individuality. The combination of contradictory things provides the possibility of unexpected discovery and creation. The five pillars can create countless vibrations in the process where intangible design starts with ideas and concepts and ultimately becomes an object experienced by someone, that is, between intentions and results. The creative convergence of opposite things is like a compass when exploring universally unknown areas; the five pillars that produce the magnetic force of the compass may point in different directions depending on where they are. However, when we have a common compass, we look forward to a harmonious experience that integrates Kia’s design philosophy.
글 박수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독립 큐레이터. 전시기획사 ‘에이전시 뤄뤼AGENCY RARY’를 운영한다. 독립문화공간 ‘아지트’ 큐레이터, 미술문화비평지 《B-art》 편집팀장, 《2017 제주비엔날레》 큐레토리얼팀 코디네이터, 통의동보안여관 큐레이터로 일했다. 《7인의 지식인》(2020), 《줌 백 카메라》(2019), 《정은영 : 어리석다 할 것인가 사내답다 할 것인가》(2018), 《김정헌X주재환 : 유쾌한 뭉툭》 (2018), 《민중미술2015 : 우정의 외면》(2015) 등을 기획했다. ‘Korea Research Fellow: 10×10’(2018, 2019), ‘두산 큐레이터 워크샵’(2019)에 선정된 바 있다.
Contributor Park Suzy
Park Suzy is an independent curator based in Seoul. She runs an exhibition agency called AGENCY RARY. She has worked as a curator at the independent culture space Agit; as editor-in-chief for B-art, a critical journal on arts and culture; a coordinator of the curatorial team of the Jeju Biennale 2017; and a curator for BOAN 1942, an art space in Seoul. She has curated exhibitions such as Seven Intellectuals (2020), Zoom Back Camera (2019), Siren Eun Young Jung: Foolish or Mannish (2018), Kim Jungheun X Joo Jaehwan: Pleasantly Bluntly (2018), and Minjung Art 2015: Freundschaft (2015). Park was also selected for the Korea Research Fellow 10×10 project (2018, 2019) and the Doosan Curator Workshop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