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약 :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에 대해
The Leap : On Opposites United
지난 오랜 시간 기아를 이끌어온 것은 시도였습니다. 국내 최초의 자전거를 만들었고, 오토바이, 삼륜 트럭을 생산하기도 했으며, 자동차를 제작해 모빌리티 산업의 성과를 한땀 한땀 축적해왔습니다. 그때마다 모두가 함께 그린 그림을 이루기 위해 혁신을 기획하며 실행에 옮겼습니다. 변화를, 연결을, 진입을 매번 새롭게 시작해왔습니다. 그리고 이런 도약의 과정에는 늘 디자인이 함께 했습니다.
Innovation has driven Kia throughout its history to resolve challenges. We’ve achieved numerous milestones, step-by-step, in the automotive industry. We’ve done this by developing the first bicycle in Korea, manufacturing motorcycles, and then three-wheeler trucks and automobiles. Along the way, Kia realized the innovation necessary to complete the vision that everyone at the company had collaborated on. Through the years we’ve always remained optimistic and braced for changes, new connections, and fluid transitions. Our designs have been integral in each significant step forward we have taken.

직선의 단순화(The Simplicity of the Straight Line)
기아의 1세대 디자인 철학은 단순성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었습니다. 직선이라는 무한한 가능성은 단순성에 가닿기 위한 최적의 조형 언어입니다. 그리고 여기에서 우리는 직선이 모여 만들어내는 곡선의 유려함, 단순성을 성취하기 위해 집약해야 하는 정교함을 깨달았습니다. 하나의 개념에 들어 있는 다채로운 힘의 균형을 재배치하기로 했습니다.
The Simplicity of the Straight Line
The philosophy of our first-generation design was to pursue the beauty of simplicity. We believe that straight lines are a universal language that has the infinite potential to communicate the refinement of simplicity. We’ve also have learned the importance of collecting and refining straight lines to create elegant curves. Applying this philosophy and the lessons we’ve learned, we’ve balanced all the lines and curves in our conceptual designs.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Opposites United)
기아는 이제 ‘Opposites United’(이하 OU)로 새롭게 내딛는 도약의 첫 그림을 그립니다. OU는 단편적 결합이 아닌 긴밀한 융합을 지향합니다. ‘이동’이라는 속성을 ‘지속하는 것’으로 보기도 하며, ‘움직임’이라는 속성을 ‘균형을 찾는 것’으로 여길 수도 있습니다. OU는 우리가 무엇을 ‘상반된(Opposites)’ 관계로 고려할 것인지 창의적으로 제안하는 시도이기도 합니다. 과거의 성취에 기반을 두고 한 단계 뛰어오른 다음의 상태를 구상해보는 것입니다.
Opposites United
Kia is now in the midst of creating a forward-looking vision under the concept of Opposites United (OU). OU aims for close convergence, not a fragmented union. The attribute of “movement” can sometimes be viewed as “continuing,” while it may also be looked at as “striking the right balance.” In addition, OU is an attempt to creatively suggest what we consider when it comes to the relationship of opposites, envisioning a state of difference that has grown on the heels of past achievements.

세계를 지탱하는 많은 부분은 상이한 가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런 서로 다른 개념을 포괄하려는 이유는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의 아름다움 때문입니다. OU가 지향하는 움직임의 속성이기도 합니다. 긴장, 전압, 앞으로 나아가려는 진행 방향을 일컫는 ‘스파늉Spannung’은 경직된 조형 언어에 직관과 상상의 역동성을 부여한 예술가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가 즐겨 사용하던 개념입니다.
Many parts that sustain the world are made up of different values. Nevertheless, we want to encompass these different concepts because there is beauty in the tension that arises between them. This is also an attribute of the movement that OU is aiming for. Spannung, which refers to tension, voltage, and the direction of progress in German, was also a favorite concept used by the artist Wassily Kandinsky, who added the dynamic of intuition and imagination to the traditionally rigid formative language of art.
“이런 서로 다른 개념을 포괄하려는 이유는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긴장의 아름다움 때문입니다.“
점, 선, 면의 구성 요소를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생기는 운동성은 우리가 늘 고심하는 다면성과 조화의 동세입니다. 칸딘스키는 따뜻함과 차가움, 수평성과 원심성, 밝음과 어두움 같은 대립쌍(opposite pair) 사이에서 긴장의 감각을 발견했습니다. ‘예민한 노랑’과 ‘차분한 파랑’의 이상적인 균형에서 초록을 새롭게 사용했습니다. 한 예술가의 특수하고 단일한 시도에 그치지 않습니다. 이미 우리의 역사에서 수많은 혁신의 과정을 목격했습니다.
The mobility that arises depending on how the components of dots, lines, and planes are constructed is a movement of multifacetedness and harmony that we are always struggling with. Kandinsky found a sense of tension between opposite pairs, such as warmth and coldness, the horizontal and the centrifugal, and brightness and darkness. He came to use green in the ideal balance of a sensitive yellow and a calm blue. This is not just an artist’s special and one-time attempt; we’ve already witnessed a number of innovative processes in the past like this.

우리의 지난 78년간의 시도는 언제나 ‘인간’과 동행하는 여정이었습니다. 디자인은 사물의 외형을 다듬는 일처럼 여겨지지만, 우리는 깊이 알고 있습니다. 디자인은 인간의 행동과 사고를 견인하는 일이라는 것을. 디자인은 인간의 삶을 구성하는 자연에서 긴장과 조화의 균형을 찾는 일이며, 아직 도래하지 않은 시간과 공간을 구축하는 일입니다. 이제 인간과 기계 간의 불연속은 급격히 좁아지고 있습니다. 기아 디자인의 휴머니티는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환경을 동시에 고려합니다.
Our attempts over the past 78 years have always been a journey with people, young and old alike. Design is considered by many to be a job aimed at refining the appearance of objects, but we at Kia understand that it is also a job that drives human behavior and thinking. It’s imperative to find a balance between tension and harmony when it comes to discovering what fundamentally makes us up as people. Design is also about building time and space that are not yet here in the present. Today, the separation between humans and machines is rapidly narrowing. The humanity of Kia’s designs simultaneously considers people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It’s imperative to find a balance between tension and harmony when it comes to discovering what fundamentally makes us up as people. Design is also about building time and space that are not yet here in the present. Today, the separation between humans and machines is rapidly narrowing. The humanity of Kia’s designs simultaneously considers people an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우리의 지난 78년간의 시도는
언제나 ‘인간’과 동행하는 여정이었습니다.“

이제 기아의 새로운 디자인 철학 OU는 휴머니티를 적극적으로 해석하며 창의적 융합의 위치로 자리매김합니다. 이를 위해 인간과 비인간의 견고한 관계를, 상반된 개념의 이면을 숙고합니다. 우리의 디자인 철학 OU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자연–인간–기술의 연결이라는 가치를 제안합니다. 한편 인간은 그 자체로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의 집합체입니다. 같은 것을 의심하는 동시에 믿기도 하는 인간의 다면성은 모순된 것들을 동시에 실행하는 유희를 구사할 수 있습니다. 다면성이라는 휴머니티의 속성은 창의적 융합을 지향하는 OU가 뿌리를 내리는 토양이기도 합니다. 이는 곧 새로운 차원을 상상하는 능력과 직결됩니다.
Kia’s new OU design philosophy makes great efforts to interpret humanity and establish itself as a venue for creative convergence. To this end, we consider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s—even machines—and the meaning behind apparently oxymoronic concepts. We are focused on connecting nature with humans and technology—the ultimate goal of OU. Human beings are an assembly of creative convergence of conflicting concepts. Human multifacetedness—in which a person not only doubts one thing but also believes in it—allows peopl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conducting contradictory things at the same time. Humanity’s attribute of multifacetedness is also the soil where OU, which aims for creative convergence, takes root. This is directly related to the ability to imagine a new dimension.
“우리의 디자인 철학 OU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자연–인간–기술의 연결이라는 가치를
제안합니다. 한편 인간은 그 자체로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의 집합체입니다.“
인간과의 동행은 곧 이동의 역사입니다. 인류의 이동 역시 OU의 궤적을 담고 있습니다. 이동은 정주를 위한 시간이기도 했으며, 운동성의 상태는 쉼 없는 역동으로의 전환을 예고합니다. 지금의 시대는 스크린 앞에 앉아서 어디로든 이동할 수 있는 감각을 연습하는 때입니다. 그러나 자신의 신체를 이동시켜본 사람만이 이동의 감각을 매만질 수 있습니다. 이동의 감각은 곧 기술의 감각이 됩니다. 피부로 느낀 이동의 감각은 부드러운 곡선의 바람이기도 하며, 거센 회전의 감촉이기도 합니다. 살결에 닿는 기술의 온기, 코로 들이마시는 기술의 냄새 같은 것들이야말로 이동을 알게 합니다.
A journey alongside human beings is a look into the history of the movement. The movement of mankind also reflects the trajectory of OU. Movement includes time for settlement, and the state of mobility foretells the transition to a non-stop dynamic. In the present era, you sit in front of a screen and practice your sense of movement going anywhere. However, only those who have moved their bodies can experience the sense of movement. In that way, the sense of movement becomes the sense of technology. The sense of movement you feel through your skin can be about the wind of smooth curves and the sensation of wild rotations. Indeed, the warmth of the technology that touches your skin and the smell of the technology that you inhale through your nose make you aware of movement.
“인간과의 동행은 곧 이동의 역사입니다.
인류의 이동 역시 OU의 궤적을 담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제 OU와 함께 이동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제안합니다. 시선의 이동이 신체의 이동이 되고, 사고의 전환이 퍼포먼스가 되는 감각을 계발하고자 합니다. 다양한 사회 공동체에 지속 가능한 운동성을 부여할 것입니다. 이제 우리의 감각은 무엇을, 어떻게 질문하고 있습니까? 감각의 능력이 바로 감성입니다. 이때 OU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에너지와 가치를 서로 접속시키는 감성의 토대가 됩니다. 과감한 고요, 섬세한 증폭, 편안한 떨림과 같은 OU의 운동성은 이동의 감각을 다채롭게 선사할 것입니다. OU는 인간, 기계, 자연을 새롭게 감각하고 이를 재구성하는 상상력을 지지합니다.
We now propose a new concept of movement along with OU. We’d like to develop a sense whereby the movement of one’s gaze becomes the movement of the body and the conversion of thoughts, thereby becoming a performance in the process. In conjunction with this, we’ll provide sustainable mobility to communities around the world. This raises the question: what and how are our senses asking questions? Sensory ability is essentially sensibility. At this point, OU becomes the basis of a sensibility that connects invisible energy and value with each other. OU’s mobility, such as bold silence, delicate amplification, and comfortable tremors, provides a sense of movement in various ways. OU supports our imagination of newly sensing and reconstructing humans, machines, and nature.
“이때 OU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에너지와 가치를
서로 접속시키는 감성의 토대가 됩니다.
과감한 고요, 섬세한 증폭, 편안한 떨림과 같은
OU의 운동성은 이동의 감각을 다채롭게
선사할 것입니다.”
기아의 디자인이 제안하는 도약에는 미지의 시간, 즉 미래를 향한 한 걸음씩의 여행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이 여정을 여러분과 함께 내딛고자 합니다.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은 미래를 향한 이동의 시간과 정주의 공간을 영감(inspiration)의 경험으로 채울 것입니다.
“명확함과 모호함, 보편과 특수, 주변과 중심,
창의성과 진부함. 이미 지나치게 충분한
이분법의 세계에서 OU는 다른 차원으로의
퍼포먼스를 제안할 것입니다.”
이 지지대를 위해 우리는 OU를 위한 다섯 개의 기둥(pillar)을 세웁니다. ‘자연과 조화되는 대담함(Bold for Nature)’, ‘이유 있는 즐거운 경험(Joy for Reason)’, ‘미래를 향한 혁신적 시도(Power to Progress)’, ‘인간의 삶을 위한 기술(Technology for Life)’, ‘평온 속의 긴장감(Tension for Serenity)’이라는 기둥입니다. OU가 내포한 역동성은 이 다섯 개의 기둥을 다채롭게 직조합니다. 대담함과 기쁨, 역량과 기술, 각각의 개념과 가치에 긴장의 감각을 부여하는 과정은 수많은 경우의 수를 탄생시킬 것입니다. 명확함과 모호함, 보편과 특수, 주변과 중심, 창의성과 진부함. 이미 지나치게 충분한 이분법의 세계에서 OU는 다른 차원으로의 퍼포먼스를 제안할 것입니다.
To support this initiative, we have created five pillars for OU: “Bold for Nature,” “Joy for Reason,” “Power to Progress,” “Technology for Life,” and “Tension for Serenity.” The dynamic contained in OU weaves these five pillars in a variety of ways. The process of giving a sense of tension to each concept and value, such as boldness and joy, and power and technology, will create a number of cases: in a world already full of dichotomies—as in clarity and ambiguity, the universal and the unique, the peripheral and the central, and creativity and cliché—OU will lead us to another dimension of performance.
The move forward that is proposed by Kia’s design framework awaits an unknown timeframe, but will most definitely be a gradual journey towards the future. We would like to take this journey with you. Opposites United will fill your time and space with inspiration while you move towards the future by uniting opposite concepts in a creative way.
글 박수지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독립 큐레이터. 전시기획사 ‘에이전시 뤄뤼AGENCY RARY’를 운영한다. 독립문화공간 ‘아지트’ 큐레이터, 미술문화비평지 《B-art》 편집팀장, 《2017 제주비엔날레》 큐레토리얼팀 코디네이터, 통의동보안여관 큐레이터로 일했다. 《7인의 지식인》(2020), 《줌 백 카메라》(2019), 《정은영 : 어리석다 할 것인가 사내답다 할 것인가》(2018), 《김정헌X주재환 : 유쾌한 뭉툭》 (2018), 《민중미술2015 : 우정의 외면》(2015) 등을 기획했다. ‘Korea Research Fellow: 10×10’(2018, 2019), ‘두산 큐레이터 워크샵’(2019)에 선정된 바 있다.
Contributor Park Suzy
Park Suzy is an independent curator based in Seoul. She runs an exhibition agency called AGENCY RARY. She has worked as a curator at the independent culture space Agit; as editor-in-chief for B-art, a critical journal on arts and culture; a coordinator of the curatorial team of the Jeju Biennale 2017; and a curator for BOAN 1942, an art space in Seoul. She has curated exhibitions such as Seven Intellectuals (2020), Zoom Back Camera (2019), Siren Eun Young Jung: Foolish or Mannish (2018), Kim Jungheun X Joo Jaehwan: Pleasantly Bluntly (2018), and Minjung Art 2015: Freundschaft (2015). Park was also selected for the Korea Research Fellow 10×10 project (2018, 2019) and the Doosan Curator Workshop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