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sor Arrow

파이프 피팅은 나무로 자라고
나무는 숲의 에너지로 자라다
아뜰리에형준, 이형준
Pipe fittings grow into trees, creating an energetic forest AtelierHyungjun, Hyungjun Lee
익숙한 소재가 조금도 익숙하지 않은 오브제로 탄생한다. 가열이나 냉각 같은 물성 변화의 과정을 거치지 않았는데 번쩍거리던 금속은 나이테를 두른 나무가 되고 차가움은 따스함이 된다. 이 변화는 파이프 피팅이라는 산업 부품을 찾아낸 덕이다. 스테인리스를 소재로 작업을 하는 아티스트는 많지만 산업 부품 파이프 피팅을 통해 대조적인 자연을 그려내고 있다는 건, 작가의 놀라운 발상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 작가는 인공을 자연에 한 발 더 가까이 가기 위한 지속적인 여정을 멈추지 않는다. 인공으로 자연을 만드는 아티스트의 다음 발상과 상상이 궁금하다면? 은근한 금속 냄새와 고요한 용접이 기다리는 금속조각가 이형준의 신세계로 입장할 시간이다.
익숙함을 낯섦으로 평범함을 이국적으로
이방인이 담은 한국의 집 -잉고 바움가르텐Ingo Baumgarten
Familiarity transformed into the unfamiliar The ordinary perceived through the exotic eyes, A foreigner’s portrait of a Korean house Ingo Baumgarten
풍경이 익숙해지면 우리는 그것에 큰 감흥을 느끼지 못한 채 스쳐 지나친다. 하지만 익숙한 듯한 풍경 속에서도 섬세한 관찰을 통해 익숙한 것을 낯설게, 평범한 것을 아름답게 화폭에 풀어내는 이가 있다. 바로 독일 화가 잉고 바움가르텐(이하 잉고). 일상에서 건축의 구조, 소재 등을 탐구하며, 자신만의 상상을 스토리텔링 하여 잉고만의 시선을 만들어 낸다. 잉고의 그림을 마주하면 마치 ‘이상한 나라 앨리스’로 빨려가듯 새로운 세상이 눈앞에 펼쳐진다. 그래서 우리는 무심코 스쳐 지나갔던 풍경을 다시금 돌아보게 된다. 16년째 한국에 살면서 서울을 관찰하며, 한국의 주택과 건물을 자신만의 해석으로 그리며 한국인들과 상호작용을 하는 잉고의 이야기가 시작된다. When we become familiar with a landscape, we often pass by it without much thought or feeling. Yet, there are those who, through careful observation, manage to transform the familiar into the unfamiliar and the ordinary into the beautiful, expressing it through drawing. One such individual is the German painter Ingo Baumgarten. He explores the structures and materials of architecture in everyday life, weaving his unique imagination into a distinct storytelling style. Encountering Ingo's artwork feels like being drawn into a new world, much like being pulled into "Alice in Wonderland." This prompts us to revisit the landscapes we once overlooked. And this is the beginning of the story of Ingo, who has been observing Seoul after living in Korea for 16 years and interpreting its houses and buildings in his own way, and engaging with the local people.
자연과 사람, 예술의 복합적인 상승 관계
스페이스미조
Creating intricate synergy with nature, people, and art
Space Mijo
보통 건축 설계에 반영해야 하는 주변 상황이나 맥락을 ‘콘텍스트(Context)’라는 단어로 표현합니다. 이 때문에 건축가에게 있어 콘텍스트는 영감의 원천이 되기도 하는데요. 도시재생이라면 더욱더 이 콘텍스트는 건축가에겐 중심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새로운 실험과 도전으로 기존 건축물과 차별화하면서도, 기존 건축물이 가진 주변의 맥락과 어울림은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지요. 그 명제를 기꺼이 받아들이며 낯설면서도 익숙한 공간이 탄생했습니다. 바로 스페이스미조입니다. 남해안의 드넓은 바다, 어선이 그득한 미조항, 그 뒤로 펼치는 산과 여러 섬이 중첩되어 만들어낸 한국화에서 볼 법한 풍경. 이 중심에 스페이스미조를 설계한 박석희, 이선희 건축가가 있습니다. 두 건축가는 미조항의 콘텍스트를 한국의 미감으로 풀어내기 위해 기존 건물의 골자는 그대로 두고, 미조항의 풍경과 어울리도록 스케일은 줄여갔습니다. 《기아 디자인 매거진》이 ‘스페이스미조’를 선택한 이유입니다. 건축가로서 도전과 시도를 통해 복합문화공간이라는 현대적 이름을 달았지만 한국적 미감으로 풀어내 미조항의 풍경에 자연스럽게 스며든 어울림. 《기아 디자인 매거진》에서 두 건축가가 써 내려간 스페이스미조의 이야기를 따라가 봅니다. In architecture, the word 'context' usually refers to the surroundings or factors that must be reflected in a design. For this reason, context is often a source of inspiration for architects, especially when it comes to urban regeneration. Context is even more central for architects when designing new buildings, as they need to experiment and differentiate themselves from the existing architecture, while still blending in with the surroundings and existing buildings. Space Mijo is a fine example of the successful fusion of unfamiliar and familiar elements. Mijo Port boasts a picturesque view with the vast blue ocean dotted with fishing boats, and layers of small islands and mountains. Two architects, Park Seokhee and Lee Sunhee created Space Mijo by redesigning an old warehouse to enable it to blend in at the Mijo Port whilst having a distinctive touch of Korean aesthetics and retaining its basic structure. Space Mijo is designed as a cultural complex yet has elements of traditional Korean aesthetics, thanks to the designers’ successful take on incorporating distinctive Korean aesthetics into its design. This makes Space Mijo a perfect item to be in the spotlight in the Kia Design Magazine. Read on to learn all about the story of Space Mijo written by the two architects.
새로움을
향한 무한한 자유
Unlimited Freedom Toward Newness
자개, 레진, 나무 등을 재료로 활용해 독특한 스타일링을 선보이는 헤어 아티스트 가베와 식물에 인공적 재료를 더해 외계 식물이라는 이색적인 작품을 선보이는 플랜트 아티스트 하이이화. 익숙한 소재로 새로운 시각적 경험을 제공하는 두 아티스트의 작업은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Opposites United)’에 대한 신선한 영감을 불러일으킵니다. 더 이상 새로운 게 있을까 싶은 영역에서 예상을 뛰어넘는 신선한 작품을 맞닥뜨리며 경이로운 감정이 고양될 때가 있습니다. 헤어 아티스트 가베와 플랜트 아티스트 하이이화는 이런 놀라움을 선사하는 작가입니다. 자개, 레진, 나무 등을 소재로 헤어 스타일링의 신세계를 보여주는 가베는 영감의 원천이 어린 시절의 기억에 있다고 고백합니다. 동양미술과 불교에서 영향을 받은 하이이화는 식물과 전자부품으로 낯선 외계 식물을 만듭니다. 두 아티스트는 익숙함에서 출발해 작품세계를 자유롭게 확장하며 새로운 창의성(New Creativity)을 선보입니다. Gabe, a hair artist, creates unique hairstyles using mother-of-pearl, resin, and wood, while HA I I HWA, a plant artist, creates alien plants by adding artificial materials. The work of these two artists, who create new visual experiences with familiar materials, provides fresh inspiration for “Opposites United.” Sometimes, in an area where you think there cannot be anything new anymore, you come across something fresh that exceeds your wildest expectations and inspires a sense of wonder. Hair artist Gabe and plant artist HA I I HWA are two such surprising artists. Gabe, who uses mother-of-pearl, resin, wood, and other out-of-the-ordinary materials to showcase a new world of hairstyling, confesses that his inspiration comes from childhood memories. HA I I HWA, on the other hand, is influenced by Eastern art and Buddhism. She creates strange alien plants using plants and electronic parts. These two artists offer viewers a new sense of creativity by starting from the familiar and pushing the boundaries of their respective art worlds.
Let’s
Enjoy Your Discovery!
Let’s Enjoy Your Discovery!
지난 6월 기아글로벌디자인(이하 기아디자인)으로부터 조직 활성화를 위한 워크숍 설계를 제안받았다. 자동차 디자인은 많은 디자이너들이 서로 협업하며 결과물을 완성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디자이너 개인의 크레딧보다는 조직을 우선하는 편이다. 특히 커다란 포부와 의욕을 가지고 입사한 디자이너가 디자인 작업에 몰두한 지 3~5년 정도 되면 리셋을 위한 리프레시가 필요해진다. 이를 위해 창의적 사고를 재충전하는 맞춤형 1일 워크숍 기획이 필요하다는 게 골자였다. 워크숍을 통해 어떤 시간을 보내고 싶은 걸까, 조심스레 물어보니 몇 가지로 압축할 수 있었다. 밑줄이 필요한 단어로 빼곡한 문장들에는 구성원에게 도움을 주고 싶다는 기아디자인의 진심이 가득 담겨있었다. 특히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라는 철학 아래 많은 이들의 영감을 총체적으로 모아 결과물을 도출하는 조직 입장에서, 그 근본을 이루는 디자이너 개인의 정체성과 브랜딩에 신경을 쓰고 계속 소통하려 노력한다는 점은 명징했다. 게임 디자인을 바탕으로 몰입형 워크숍(immersive workshop)을 진행하는 우리 ‘놀공NOLGONG’의 장기를 활용하면 조직과 개인에게 모두 도움 되는 흥미로운 장을 마련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 In June 2023, I was approached by the Kia Global Design Division (hereinafter Kia Design) to organize a workshop that would revitalize their organization. Automotive design is a process where many designers collaborate to complete a product, so the organization tends to take precedence over individual designer credits. That is especially true for designers who joined the company with great ambition and motivation yet could still use a boost of momentum to reset themselves after three to five years of such immersive design work. The key was to design a customized one-day workshop to recharge their creative batteries. After carefully asking them what they wanted to do during the workshop, I narrowed it down to a few things. Kia Design’s sentences, filled with words that needed to be underlined, contained the organization’s sincere desire to help its members. In particular, it was clear that as an organization that collectively harnesses the inspiration of so many people to produce results under Kia’s design philosophy, “Opposites United,” it still cares about the identity and branding of each designer—which becomes the organizational foundation—and tries to continue communicating with them on an ongoing basis. I thought we could create an exciting opportunity that would benefit both the organization and the individuals themselves by leveraging NOLGONG’s extraordinary ability to conduct immersive workshops based on game design.
디자이너 로베르트 클로스.
그의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Designer Robert Klos. Hear his various stories.
아주 어릴 때부터 자동차, 기차, 자전거를 참 좋아했어요. 몇 살인지 기억도 안나네요. 기계적인 면모를 띤 움직이는 사물에 항상 관심을 빼앗겼죠. 아파트 창밖을 내다보며 저 멀리 지나가는 열차의 화물칸 갯수를 세곤 했다니까요. 동네에 처음 보는 차가 지나가거나, 큰 트럭을 발견할 때면 뛸 듯이 기뻐했던 경험도 기억나네요. (웃음) 또 다른 취미는 그림 그리기였어요. 건축물이나 아파트 설계도를 그렸는데, 건축사무소에서 일하시던 할머니의 영향을 받은 게 아닐까 싶어요. 물론 자동차도 자주 그렸습니다! TV에 나온 F1 자동차를 따라 그리곤 했죠. 제가 디자인에 관심을 가진 특별한 계기가 있어요. 14살 때 제 사촌이 제품 디자인을 공부하고 있었어요. 그가 만든 작업물을 본 순간 깨달았죠. ‘내가 하고 싶은 건 바로 이런 거였어!’ 저는 제품 디자인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어릴 적부터 늘 제 넋을 빼놓던 자동차를 디자인하고 싶다는 꿈을 품게 되었어요. 하지만 목표를 이루기까지는 조금 시간이 걸렸어요. 당시 제가 살던 폴란드 바르샤바에는 자동차 회사가 없었고, 자동차 디자인을 전공할 길도 묘연했어요. 그래서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공부를 했답니다. 시간이 흘러 2017년부터는 기아유럽디자인에서 일할 수 있었죠. 지금 이렇게 《기아 디자인 매거진》과 인터뷰를 하는 거 보니, 결국 꿈을 이룬 게 아닌가 싶네요. 하하. Ha, that’s a very tricky yet straightforward question. The answer to it might be a bit too long, though, if I would go into every detail. Anyway… Ever since I can remember, I have been fascinated by cars, trains, and bicycles; I have no idea why. Everything that was moving and had some technicality always got my attention :). I remember looking out the window of the flat I lived in as a kid and counting wagons of trains passing by in the distance. I remember feeling super happy seeing a new car or big truck on our street. Also, for some reason, I can’t explain why I was drawing a lot: architecture and plans of the apartments (I think my grandma, who was working in the architecture office, influenced me a bit; my dad is a fantastic drawer, too, by the way!) And, of course, I was drawing cars! Especially F1 Cars when I watched it on TV (I was six years old). Things evolved quite a bit over the years, and finally, when I was 14, I got interested in art and design. My cousin was studying Product design and showed me some stuff he was working on. BUM, that was it! I decided to take it a step further and try car design, even though we didn’t have any car design school or car industry in Poland. It took some time, some moving to different countries and learning, but hey, now I am here, talking to Kia Design Magazine, so I think things worked out quite well in the end :)
선입견을 넘어 무한한 가능성의 세계로
드랙 아티스트 나나영롱킴
Beyond Prejudice: Advancing Toward a World of Infinite Possibilities — Nana Youngrong Kim, Drag Artist
나나영롱킴은 현재 한국에서 가장 인지도 높은 드랙 아티스트다. 연극영화과에 진학해 배우의 길을 모색했지만, 남녀의 고정된 성역할과 로맨스가 주를 이루는 관습적 연기에서 한계를 느끼던 그는 우연히 드랙 아티스트를 조명한 영화 〈프리실라〉와 〈헤드윅〉을 접했고, 영화에 등장하는 드랙 아티스트의 화려한 의상과 소품에 마음을 빼앗기며 드랙 문화에 빠져들었다. 그때부터 현재까지 18년이라는 시간 동안 그는 기존의 클럽 무대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문화 예술 장르에 도전하며 ‘성소수자들만의 문화’라는 드랙의 선입견을 허무는 데 지속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브라운아이드걸스, 마마무, 박효신, 유노윤호 등 다양한 K팝 아티스트와 협업했고, 럭셔리 브랜드 베르사체, 모스키노, 로에베, 루이 비통 등의 러브콜을 받았으며, 코스메틱 브랜드 헤라HERA의 캠페인 모델로 활동하며 컬래버레이션 제품을 발매했다. 그는 드랙을 주제로 한 개인 다큐멘터리 〈NA, NA〉를 제작하고, 한국 드랙 아티스트로는 유례없이 사진전을 여는 등 드랙 문화의 확장성을 계속 증명하는 중이다. Korea’s drag culture, once considered “cross-dressing” and enjoyed by just a small group of people, is now entering a new phase. Today, different definitions and categories of drag culture are emerging, and drag artists are expanding into a variety of genres. One name on this new cultural map is Nana Youngrong Kim, one of Korea’s leading drag artists. As a drag artist, Kim embraces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diversity of genres, direct proof of his belief that drag is the act of being able to be absolutely anything. Drag culture is a liberating medium in that it can help anyone in the world move forward in the direction of their choice. Kia Design Magazine met up with Kim and listened to his perspective and attitude to change many of the stereotypes surrounding drag and highlight the infinite possibilities of drag culture as a driving force to enrich our times.
도약하는
K아트의 안팎을 조망한다는 것
Looking Out from Both Sides of a Surging K-Art Movement
한국의 로컬 갤러리로서 잠재력 넘치는 한국 작가를 발굴해 해외에 알리는 역할을 해온 원앤제이 갤러리, 글로벌 메가 갤러리로서 한국에 진출한 타데우스 로팍. 이 두 곳을 이끄는 박원재 원앤제이 갤러리 대표와 황규진 타데우스 로팍 서울 총괄 디렉터의 이야기를 통해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Opposites United)’을 고민해 봅니다. 박원재는 원앤제이 갤러리 대표다. 2005년 갤러리를 설립한 이래 가능성 있는 한국 작가를 세계 미술계에 꾸준히 소개하고 있다. 2018년 스위스 ‘아트 바젤’에서 원앤제이 갤러리의 강서경 작가가 아시아 갤러리 소속으로는 처음으로 발루아즈 예술상을 받으며 큰 화제를 모았다. 갤러리를 운영하면서 2020년 디지털 아트 플랫폼 ‘아티팩츠Artifacts’를 설립하고 2022년 위치 기반 전시 앱 ‘아트가이드Artguide’를 론칭하며 미술에 대한 대중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 중이다. 현재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자문위원이자 한국화랑협회 국제이사를 맡고 있다. While ONE AND J. Gallery is a local gallery in Korea that has played a role in discovering and introducing highly promising Korean artists to the world, Thaddaeus Ropac is a global mega-gallery that has recently established itself in Korea. We explore “Opposites United” through the stories of the two people who are spearheading these galleries, Wonjae Park, Managing Director of ONE AND J. Gallery, and Kyujin Hwang, Executive Director of Thaddaeus Ropac Seoul. Wonjae Park is the Managing Director of ONE AND J. Gallery. Since establishing the gallery in 2005, he has been steadily introducing promising Korean artists to the international art scene. In 2018, Suki Seokyeong Kang of ONE AND J. Gallery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when she received the Baloise Art Prize at Switzerland’s Art Basel, making her the first artist represented by an Asian gallery to accomplish the feat. In addition to running the gallery, Park has been working to increase public access to art by setting up the digital art platform Artifacts in 2020 and launching the location-based exhibition app Artguide in 2022. Wonjae Park is currently an advisory board member of the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and an international board member of the Galleries Association of Korea.
아는 것과 보는 것 사이에서
생각하는 법
How to Discern between What You Know and What You See
감동은 마음을 움직일 때도 찾아오지만, 생각하는 법을 뒤흔들 때도 찾아온다. 우리가 쉽게 쓰는 ‘고정관념’이라는 표현처럼, 누군가의 마음에 깃든 생각이란 좀처럼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니 항상 새로운 생각이 필요하고, 누구보다 앞서 아이디어의 첨단을 달려야 하는 이에게 생각하는 법을 바꾸는 시도는 얼마나 중요할까? 아트북 서점에서 수차례 재입고와 품절을 반복한 전설의 책 『변신술』(1997)의 저자이자, 붓질 한 번에 비명 한 번 내지르는 영상 작품 〈“노란 비명” 그리기〉(2012)로 모두의 뇌리에 강렬한 존재감을 심은 작가 김범은 그야말로 남다른 ‘생각법’을 잘 보여주는 인물이다. 1963년 태생의 김범은 언제나 의문의 작가였다. 작품보다 작가가 많이 드러나는 것을 꺼려 인터뷰를 최소화하는 이는 더러 있지만 김범이 자신을 드러내지 않는 방식은 남달랐다. 그의 작품을 마주할 기회는 더러 있었던 반면 그가 참여한 인터뷰 기사는 찾기조차 힘든 실정이다. 한국 개념미술 신에서 매우 중요한 축을 차지하는 위상에 비해 간헐적인 전시만으로 존재를 드러내는 작가 김범. 그래서 2010년 아트선재센터 이후 무려 13년 만에 리움미술관에서 열리는 이번 개인전은 존재감부터 남다르다. 1990년부터 2010년 중반까지 전개한 김범의 작품 세계를 관통하는 대규모 서베이 전시를 위해 리움미술관은 그라운드갤러리와 블랙박스 등 주요 공간을 할애하며 회화, 조각, 설치, 영상 등 총 70여 점의 작품으로 관람객을 맞이한다. A deep impression forms when something moves our hearts. However, it can also start when something shakes our thinking. That is because, as we often say, stereotypical thinking is hard to change. How important is it to try to change the way you think when you need new ideas and need to be on the cutting edge of ideas before everyone else? Kim Beom—author of the legendary book The Art of Transforming (1997), which has constantly been selling out at bookstores since its publication, and the same artist who left a strong impression on people with his video work Painting “Yellow Scream” (2012), in which he emitted a scream with every single brushstroke—is a perfect example of how to think differently. Born in 1963, Kim Beom has always been a mysterious artist. Although some artists do not give a lot of interviews simply because they do not want to reveal more about themselves than their work, Kim’s reasoning is different. Interestingly, while we have had many opportunities to see his work over the years, it is hard to find any interviews with him. Despite his status as an essential part of the Korean conceptual art scene, Kim’s presence is limited to intermittent exhibitions. That is why the solo exhibition at Leeum Museum of Art, 13 years after his 2010 exhibition at Art Sonje Center, is unique. For this large-scale survey exhibition of Kim’s oeuvre from 1990 to mid-2010, Leeum Museum of Art dedicates most of its significant spaces, such as the Ground Gallery and the Black Box, to welcome visitors with a total of 70 works, including paintings, sculptures, installations, and videos.
DQM 업무를 맡는 김규환.
그의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Senior Designer Kyuhwan Kim. Hear his various stories, including DQM.
반갑습니다. 저는 김규환 책임연구원입니다. 2010년 입사해 기아 남양디자인센터에서 익스테리어 디자인 프로젝트에 참여해 왔고, 현재 기아넥스트디자인외장실에서 익스테리어 디자인 전반에 대한 디자인 퀄리티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디자이너 중에는 어릴 때부터 진로를 결정한 분이 굉장히 많은 것 같아요. 반면 저는 상대적으로 늦은 시기에 자동차 디자이너를 꿈꿨어요. 대학교에 입학했을 당시만 해도 영상이나 광고 쪽에 관심을 두고 있었거든요. 그러다 우연히 한 선배를 만나게 되었는데요. 그때까지 대화한 디자이너 중 생각이 깊고, 본질을 꿰뚫는 통찰력이 돋보이는 사람이었어요. 그 선배가 마침 자동차 디자인을 전공하고 있어서 자연스럽게 저도 흥미를 느끼게 되었고, 그러다가 자동차 디자인에 빠지게 되었네요. My name is Kyuhwan Kim, and I’m a senior designer. Since joining the company in 2010, I’ve been involved in exterior design projects at the Kia Namyang Design Center. Presently, I’m in charge of design quality for overall exterior designs at Kia Next Design Exterior Group. I think there are a lot of automotive designers who decided on their career paths at an early age, but I dreamed of becoming an automotive designer relatively late in life. When I started university, I was interested in film & video studies as well as advertising, but then one day I met a fellow student who was a bit older than me. He was one of the most thoughtful and insightful designers I had ever talked to. He happened to be majoring in automotive design, so naturally I was intrigued, and that’s how I fell in love with automotive design.
우리가 열망하는 한복
한복 디자이너 김영진
The Passion of Our Hanbok — Youngjin Kim, Hanbok Designer
우리극이 좋아 판소리, 동래학춤, 봉산탈춤을 배우고 극단에 들어간 사람, 해외 럭셔리 브랜드의 슈퍼바이저로 일한 사람, 서울시 무형문화재 11호 고(故) 박선영 침선장에게 배움을 청했던 사람, 오트 쿠튀르와 기성복의 경계를 넘나들며 옷을 만드는 사람. 얼핏 동떨어져 보이는 다양한 사람의 이야기는 ‘김영진’이라는 큰 줄기로 모입니다. 《기아 디자인 매거진》은 경계와 고정관념을 흔들며 한복에 생동을 불어넣은 한복 디자이너 김영진을 만났습니다. 한복을 동시대 패션으로 이끄는 그에게 전통이란 옛것을 고정불변하게 계승하는 일이 아닙니다. 오히려 아름다움을 향해 나아가는 생명체에 가깝죠. 김영진 디자이너는 전통과 패션에 대한 깊은 사유를 통해 동시대 한복이 살아 숨 쉬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김영진은 우리 시대를 대표하는 한복 디자이너다. 우리극을 하는 극단에서 배우로 활동하며 우리극 소품 만들기를 돕다가 처음 한복을 만났다. 이후 패션업계에 입성해 세계적인 럭셔리 브랜드에서 10여 년간 슈퍼바이저로 일했다. 최고급 수입 원단을 직접 바잉하던 경험은 세계에 산재한 다양한 원단에 눈뜨는 계기가 됐다. 서울시 무형문화재 11호 고(故) 박선영 침선장에게 가르침을 받으며 한복의 원형을 탄탄히 공부하고 시대별 한복을 두루 섭렵한 그는 2004년 맞춤 한복 브랜드 ‘차이 김영진’을 론칭했다. 한복의 멋을 살리면서도 현대적인 개성을 표현하는 차이 김영진은 BTS, 틸다 스윈튼, 정호연 등 국내외 다양한 유명인에게 의뢰받으며 화제를 모았다. 2013년 론칭한 기성 한복 브랜드 ‘차이킴’은 동시대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패션으로서의 한복이 지닌 가능성을 표출했다. 그는 오페라 〈동백꽃 아가씨〉, 연극 〈햄릿〉, 영화 〈해어화〉, 창극 〈심청가〉 등 다양한 무대 의상을 비롯해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의 여주인공 배우 김태리의 의상을 연출하며 멈추지 않는 도전 정신을 발휘 중이다. She is someone who fell in love with Korean theater and later joined a theater company after learning pansori. The same person worked as a supervisor for an international luxury brand and implored the late Seonyoung Park, Seou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1, to teach her traditional Korean sewing. Indeed, this is the very same woman who also creates clothes that straddle the line between haute couture and ready-to-wear garments. The stories of these seemingly disparate people all funnel together into the stream of one person—Youngjin Kim. Kia Design Magazine recently met Kim, a hanbok designer who has vitalized Korean traditional dress by shaking up boundaries and stereotypes. For Kim, who is turning hanbok into contemporary fashion, tradition is not a fixed inheritance of the past but something closer to a living creature that moves towards beauty. Through her profound thoughts on tradition and fashion, designer Youngjin Kim is showing everyone how to bring hanbok to life in today’s world. Youngjin Kim is one of the leading hanbok designers of her time. She first encountered hanbok while working as an actress in a troupe performing Korean theater and helping to make props. She later entered the fashion industry and worked as a global luxury brand supervisor for over a decade.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the finest imported fabrics opened her eyes to the variety of worldwide materials. She studied under the late Seonyoung Park, a master of traditional sewing, and Seoul’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 11. She gained a solid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hanbok, and learned all about hanbok from different historical periods. She ultimately launched her custom-tailored hanbok brand, Tchai Kim Young Jin, in 2004. Tchai Kim Young Jin’s hanbok, which preserves the style of the garment while expressing a contemporary personality, has been commissioned by various Korean and international celebrities, including BTS, Tilda Swinton, and Jung Ho-yeon. Launched in 2013, her ready-to-wear hanbok brand, Tchai Kim, expresses the potential of hanbok as a fashion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contemporaneity. Youngjin Kim has shown a seemingly ceaseless groundbreaking spirit in her design of myriad stage costumes for the opera La Traviata, the play Hamlet, the movie Love, Lies, and the puppet show Simcheongga, as well as costumes for the actress Kim Tae-ri, the lead actress in the drama Mr. Sunshine.
가능성을
찾는 손의 감각
Hands’ Sense of Finding Possibilities
400년 전통의 양구 백토를 사용해 백자를 만드는 이인화 작가,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디지털 크래프트를 선보이는 류종대 작가. 두 공예 작가의 인터뷰를 통해 이들의 작업에 담긴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Opposites United)’을 발견해 보세요. 이인화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공예과에서 도예를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마쳤다. 2015년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 국제공모전 대상, 2018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인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을 수상했다. 창덕궁 규장각, 아모레퍼시픽 뮤지엄, 양구백자박물관, 런던 빅토리아 앤 앨버트 뮤지엄(V&A), 로마 교황청 등에서 작품을 영구 소장 중이다. 현재 강원도 양구에 위치한 스튜디오 소만에서 백자의 ‘투광성’을 주제로 다양한 작업을 하고 있다. 류종대는 디자인 스튜디오 크레아포트의 대표로 현재 홍익대학교 목조형가구학과 겸임 교수이자 이탈리아 A’ Design Awards의 심사위원을 맡고 있다. 목공예와 아트 퍼니처를 전공하고, 요트 디자인 등 산업 디자인 영역에서도 활동해 왔다. 2017년 일본 ‘마루누마 아트파크Marunuma Art Park’에서 개인전을 연 것을 시작으로 3D 프린팅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크래프트digital craft’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2022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인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을 수상했다. Inhwa Lee makes white porcelain using 400-year-old white clay from Yanggu, and Jongdae Ryu presents digital craft works using 3D printing technology. Through interviews with these two craft artists, discover the concept of Opposites United contained in their work. Inhwa Lee majored in ceramics through the Department of Craf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s College of Fine Arts, and went on to complete her MFA at the graduate school of the same university. In 2015, she won the Grand Prize at the Cheongju International Craft Competition, and in 2018 she received the Young Artist of the Year Award from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er works are in the permanent collections of Changdeokgung Gyujanggak (Royal Library), Amorepacific Museum, Yanggu Porcelain Museum, Victoria and Albert Museum in London, and the Holy See in Rome. She is currently working on a wide range of works under the theme of light transmission in white porcelain at Studio Soman in Yanggu. Jongdae Ryu is the CEO of the design studio Crea Port, an adjunct professor at Hongik University’s Department of Woodworking and Furniture Design, and a jury member of the A’ Design Award in Italy. He majored in woodworking and art furniture, and has also been active in the field of industrial design, including yacht design. Since his solo exhibition at Marunuma Art Park in Japan in 2017, Ryu has been presenting digital craft works utilizing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3D printing. In 2022, he was awarded the Young Artist of the Year Award by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그릇으로서의
아트워크, 환대로서의 전시
Artworks as a Medium, an Exhibition as Hospitality
요즘 유행인 챗GPT에게 물어봤다. “기아의 디자인 철학은 뭐니?” 똑똑한 챗GPT는 이내 자신있게 헛발질을 찼다. “The Power to Surprise입니다.” 없던 말을 지어낸 건 아니다. 2005년 수립한 기아의 브랜드 슬로건이니까. 2021년 기아자동차가 사명을 기아로 바꾸고 브랜드 슬로건 또한 ‘Movement that inspires’로 변경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조금 기가 막히지만. 틀렸다고 핀잔을 주며 다시 한번 채근해본다. “2021년 새롭게 정립한 기아의 디자인 철학은 뭐니?” 이제야 마음에 드는 답이 나온다. “Opposites United입니다.” 좋아! 그러면 심화 질문을 해볼까. “Opposites United를 구성하는 5 Pillars는 뭐야?” 다시 꼬이기 시작하는 챗GPT. 분명 다섯 가지 필라를 말하라고 했는데 가짓수도 빼먹고, 그 명칭도 각양각색이다. 아! 현재 무료로 이용가능한 챗GPT의 기억은 2021년 9월이 마지막이니, 2021년 3월 15일에 발표한 기아 디자인 철학에 대해 깊이 있게 습득할 여력이 없을 수도 있다. 그래서 챗GPT의 대항마인 구글의 ‘바드Bard’에게 똑같이 질문을 던져봤다. 근데 이 아이도 Opposites United까지는 맞추는데 심화 질문으로 들어가니 챗GPT보다 더 가관이구나. 결국 도긴개긴이다. I asked the smarty pants ChatGPT, “What is Kia’s design philosophy?” Without hesitation, it blurted out the wrong answer confidently: “The Power to Surprise.” ChatGPT did not make this up—that actually was Kia’s 2005 brand slogan. That being said, it does seem a little crazy when you consider that Kia Motors changed its name to Kia and its brand slogan to “Movement that inspires” in 2021. I came down on ChatGPT for getting it wrong and told it to try again. “What was Kia’s new design philosophy in 2021?” Only then did I get the answer I was looking for: “Opposites United.” Great! Then I asked a more detailed question: “What are the five pillars that make up Opposites United?” ChatGPT started to stumble again. I asked it to name the five pillars, but it did not know what they were, and instead gave me a bunch of different phrases. Since the last free-of-charge ChatGPT memory is to September 2021, it may not have had time to learn more about Kia’s design philosophy, which was announced on March 15, 2021, so I asked the same question to Google’s Bard, ChatGPT’s competition. Although Bard answered Opposites United, when it moved on to in-depth questions, it was even worse than ChatGPT. In the end, the two AI chatbots were not that different.
모빌리티 디자인에서
VR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We talk about using VR in Mobility Design.
저는 기아디자인모델개발실 VR랩에서 디자인 비주얼라이징을 담당하는 정재원 책임연구원입니다. 입사 이래 계속 지금의 업무를 맡아왔고, 아마 퇴사할 때까지 지속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속된 말로 ‘고인물’인 것 같지만, (웃음) 나름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으려고 관련 산업 동향을 항상 민감하게 체크합니다. 아마도 제가 가장 자신 있는 부분은 검색인 것 같아요. 궁금한 게 있을 때마다 검색하는데, 원하는 정보를 상당히 잘 찾는 편입니다. 저희 VR랩은 각 멤버의 능력이 뛰어나서 딱히 누가 이끌어간다는 느낌은 없어요. 저는 멤버가 즐겁게 일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희는 기아 디자인센터 내에서 진행하는 CG 작업 대부분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3D 데이터를 활용한 렌더링, 실시간 리뷰 및 품평 콘텐츠 제작, 진행 등이 대표적이죠. 또한 비주얼 관련 신기술 연구 및 투자도 진행합니다. 디자인센터에 계신 많은 분이 동감하시겠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프로젝트가 꾸준히 늘면서 업무 영역도 함께 넓어지는 터라 고민이 많습니다. 디자인 프로세스를 디지털로 전환하니까 3D 데이터가 매일 쏟아져 나오네요. 디지털 기반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가리켜 DDD(Data Driven Design)라고 부릅니다. 차량의 3D 데이터가 만들어지면 저희 VR랩에서 예쁘게 꽃단장해서 여기저기 활용가능한 콘텐츠로 가공합니다. 저희가 마지막 단계의 업무를 하고 있기에 주목받는 경우가 많지만, 기본적으로 좋은 디자인과 고품질의 3D 모델링이 선행되어야 작업이 가능합니다. I’m Chaiwon Chung, a senior researcher in charge of design visualization at the Kia Design Model Development Group VR Lab. I’ve been in my current role since I joined the company, and I think I’ll probably be here until I retire. I feel like I’m an old hand at what I do (laughs), but I always keep up with industry trends to stay ahead of the curve. The thing I’m probably most confident about is searching—whenever I have a question, I go searching, and I’m pretty good at finding what I’m looking for. Each member at our VR Lab is very capable, so I don’t feel like there’s one specific person who leads it. I think my role is to help the members of the lab enjoy their work. The VR Lab performs most of the CG work done inside the Kia Design Center. This includes using 3D data so that we can create renderings and content for real-time review and evaluation. In addition, we also conduct research and investment in new technologies related to visuals. As I’m sure many people in the Kia Design Center would agree, the number of projects we work on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with the scope of our work expanding as well. This means I always have a lot on my mind. Since we’re digitizing our design process, we’re bombarded with 3D data on a daily basis. We call this process Data Driven Design (DDD). Once we have the 3D data of a vehicle, we make it look more attractive in our VR Lab and process it into content that can be used wherever need be. We get a lot of attention because we end up working on the last step, but good design and high-quality 3D modeling should also precede our work.
K를 번역하는 사람
영화 번역가 달시 파켓
Interpreting K-Culture — Darcy Paquet, Subtitle Translator
지난 2020년 영화 〈기생충〉이 비영어권 영화 최초로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을 받았을 때 봉준호 감독과 함께 주목받은 이가 있습니다. 바로 영화 번역가 달시 파켓Darcy Paquet입니다. 봉 감독은 〈기생충〉을 두고 “한국인만 100%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라고 얘기했는데요. 실제로 영화 속에는 짜파구리, 서울대, 반지하, 수석(壽石) 등 한국 문화에 대한 지식과 경험이 필요한 표현이 자주 등장합니다. 달시 파켓은 영문 번역을 통해 이를 절묘하게 재창조했습니다. 사실 그는 〈옥자〉를 제외한 봉 감독의 모든 작품 번역을 전담했고, 박찬욱 감독의 〈아가씨〉와 〈헤어질 결심〉을 비롯해 〈밀정〉, 〈국제시장〉 등 지극히 한국적인 상업 영화와 〈우리들〉 같은 독립 영화에 이르기까지 100편이 훌쩍 넘는 한국 영화와 외국 관객을 언어적으로 단단하게 연결한 주인공입니다. 《기아 디자인 매거진》은 이번 인터뷰를 통해, 영화 번역가뿐만 아니라 한국 영화를 진심으로 아끼는 씨네필, 영화 평론가, 그리고 한국 독립 영화를 알리는 영화제 집행위원장까지 그가 지닌 다양한 면모를 살펴보았습니다. 달시 파켓의 목소리에는 20여 년간 쌓아 올린 한국 영화에 대한 진심이 가득 녹아있었습니다. In 2020, when the movie Parasite became the first non-English-language film to win the Academy Award for best picture, there was one person who stood in the spotlight alongside director Bong Joon Ho—the film’s subtitle translator, Darcy Paquet. Bong once said of Parasite, “I think only Koreans are able to understand 100 percent of it.” And indeed, the movie is full of expressions that require a knowledge of and experience in Korean culture, such as chapaguri (ram-don), Seoul National University, banjiha (semi-basement), and suseok (viewing stones). Darcy Paquet deftly brought these words to life through their English translation. In fact, except for Okja, Paquet has translated all of Bong’s films and has been responsible for creating a linguistic bridge between Korean cinema and foreign audiences for well over 100 films, ranging from Park Chan-wook’s The Handmaiden and Decision to Leave, to decidedly Korean commercial films like The Age of Shadows and Ode to My Father, to independent films like The World of Us. In this interview, Kia Design Magazine explores the many hats Darcy Paquet wears, not only as a subtitle translator, but also as a cinephile who sincerely cares about Korean cinema, a film critic, and a film festival organizer who promotes Korean independent films. It’s easy to tell through nothing more than his voice, which was filled with heartfelt sincerity in this interview, how much he genuinely cares about Korean cinema, something he’s been enjoying for over 20 years.
변주를 넘어
자유로운 융합으로
Beyond Variation, Toward Free Fusion
전통음악에 머물지 않고 복합장르를 시도하며 새롭고 독창적인 레퍼토리를 이어가는 경기소리꾼 이희문. 최근 국악을 접목한 기념비적인 10집 앨범을 선보인 재즈 보컬리스트 웅산. 상반된 것을 융합하며 음악 세계를 확장하는 두 뮤지션을 통해 ‘상반된 개념의 창의적 융합(Opposites United)’을 통찰해 보세요. 이희문은 국가무형문화재 제57호 경기민요 이수자로 경기민요 고주랑 명창의 아들이다. 영상을 전공하고 뮤직비디오 연출을 하다가 27세에 이춘희 명창의 권유로 소리를 시작했다. 전통을 기반으로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을 추구하는 그는 2010년 전국민요경창대회 종합부문 대통령상, 2014년 KBS 국악대상 민요상, 2015년 제23회 전통예술부문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2021년 국립국악원 개원 70주년 유공자 포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표창, 서울시문화상을 받았다. 웅산은 1996년 재즈클럽 신에 데뷔하여 2003년 1집 앨범을 발매했다. 일본 ‘빌보드 라이브’와 일본 최고의 재즈 명예의 전당 ‘블루노트’에 초청받은 최초의 한국인이다. 2008년 한국대중음악상 최우수 재즈&크로스오버 노래상 2관왕, 2010년 일본 《스윙 저널》 ‘골드디스크’에 한국인 최초로 선정됐다. 2008년과 2015년에는 리더스폴에서 선정한 베스트 보컬로 뽑혔고, 2021년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현재 사단법인 한국재즈협회 제3대 회장이다. Heemoon Lee is a sorikkun (professional sing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field of Gyeonggi minyo (folk songs of the Seoul and Gyeonggi area). Over the years, he has not let himself be limited to traditional music but has instead tried to forge a path forward in a complex genre and continue making a new and original repertoire of music. WoongSan is a jazz vocalist who recently released her monumental 10th album—and her first one to incorporate Korean traditional music. We invite you to gain greater insight into “Opposites United” through these two musicians, both of whom fuse opposite elements as they expand their music world in brilliant new directions. Heemoon Lee is a certified trainee in Gyeonggi minyo,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57, and the son of Gyeonggi minyo master Ko Jurang. He majored in film production and directed music videos before starting his professional career as a singer at the age of 27 after following the advice of Master Lee Chun-hee. Based on a long, distinguished tradition, Heemoon Lee pursues music that crosses the borders of different genres. Lee was the recipient of the President’s Award at the 16th National Folk Song Competition in the comprehensive category in 2010, the Folk Song Award at the 2014 KBS Traditional Music Awards, and the 23rd Young Artist Award in 2015. He also received a commendation from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t the National Gugak Center in 2021 and from the Seoul Culture Awards in 2021. WoongSan made her debut in the jazz club scene in 1996, releasing her first album in 2003. She is the first Korean to be invited to Japanese Billboard Live and Blue Note Tokyo, two of Japan’s most noteworthy jazz venues. She won the Best Jazz & Crossover Song Award/Album Award at the Korean Music Awards in 2008, and was the first Korean award winner of the Golden Disc from Japanese notable jazz magazine Swing Journal in 2010. She was also selected as the Best Vocalist by Reader’s Poll magazine in 2008 and 2015. Later, she received a Prime Minister’s commendation at the Korean Popular Culture and Arts Awards in 2021. Currently, she is the third chairperson of the Korea Jazz Association.
쿠사마 야요이라는 이름의
무한 세계
An Infinite World Named Yayoi Kusama
2023년 새해부터 루이 비통과의 협업으로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아티스트 쿠사마 야요이(草間彌生). 올해 93세라는 나이가 믿기지 않을 만큼 아직도 매일 그림을 그리며 왕성하게 활동하는 그의 회고전 《야요이 쿠사마: 1945년부터 현재》가 지금 홍콩의 M+에서 열리고 있다. ‘미술관 이상의 미술관(More than Museum)’이라는 의미의 M+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시각문화 뮤지엄으로 근·현대미술, 건축, 디자인, 영화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컬렉션을 소장 중이다. 무려 15년 동안 준비해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1년 11월 개관하며 화제를 모았다. 총면적 6만 5000㎡(전시 공간 1만 7000㎡)의 압도적인 규모를 자랑하는 M+에서 열린 이번 전시의 출품작은 200여 점. 쿠사마의 초기작부터 전시 시작 직전에 완성한 신작 12점까지 아우르는 규모는 일본을 제외하고 아시아에서 열린 그의 전시 중 가장 장대하다. ‘쿠사마 야요이’ 하면 자연스럽게 폴카 도트Polka Dot 형태의 물방울무늬 호박 조형물과 무한 거울 방의 모습이 떠오른다. 그러나 전시를 기획한 M+의 정도련 부관장은 “대중적으로도, 국제적으로도 널리 알려진 물방울무늬 호박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잘라 말한다. 전시팀은 “쿠사마는 대체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새롭게 품었다. 이번 회고전에 협력 큐레이터이자 독립 기획자로 참여한 미카 요시타케(Yoshitake Mika)는 그 답변을 이렇게 정의했다. “그의 존재는 모든 것을 대변한다.” From the start of the new year in 2023, artist Yayoi Kusama had people talking around the world about her collaboration with Louis Vuitton. She is still very active, painting every day despite being an unbelievable 94 years of age. Her retrospective exhibition, Yayoi Kusama: 1945 to Now, is currently being held at M+ in Hong Kong. The name M+ comes from the concept of being a “Museum and More.” Today, it is the largest museum of visual culture in Asia, with an extensive collection that spans everything from modern and contemporary art to architecture, design, and film. It has attracted attention since it opened in November 2021, in the middle of the pandemic, and after 15 years of preparation. The exhibition, which is taking place at M+ and its overwhelming structure area of 65,000 m² (17,000 m² of exhibition space), features over 200 works, ranging from Kusama’s early works to 12 new pieces completed just before the exhibition. This is the largest exhibition of Kusama’s in Asia outside Japan. When you hear the name “Yayoi Kusama,” many people naturally think of her pumpkin sculptures, polka dot patterns, and infinite mirror room. However, Doryun Chong, deputy director and chief curator at M+, firmly says “What we see and what we celebrate internationally, polka dot and pumpkin, is just the little tip of the iceberg” when it comes to the legendary Japanese artist. The exhibition team there had a new question: “Who is Kusama?” Mika Yoshitake, who participated in the retrospective as a co-curator and independent planner, offered this answer: “Kusama is many things.”
인턴 디자이너 보웬 주.
그의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Intern Designer Bowen Zhou. Hear her various stories.
제 이름은 보웬 주Bowen Zhou입니다. 우리 삶에 희망과 즐거움을 더하는 디지털 경험을 디자인하고 있어요. 기아에서 인턴을 하기 전에는 로드아일랜드디자인스쿨(RISD)에서 산업디자인과 조각을 공부했습니다. 재학 중 NASA에 증강 현실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팀을 이끌기도 했고, 현대자동차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미래의 도시 풍경을 만들기도 했어요. 브라운 스페이스 엔지니어링Brown Space Engineering의 지상 소프트웨어 팀에서 일한 경험도 있답니다. 예전 현대자동차 프로젝트에 참여했을 때 매 순간이 너무나 좋았어요! 가까운 미래를 진지하게 상상하면서 그곳과 사람의 연결 경로를 설계하는 경험은 쉽게 얻을 수 없잖아요. 게다가 미국에 사는 입장에서 지구 반대편인 한국으로부터 도착하는 피드백을 적용해 디자인하는 경험은 무척 신기했어요. 그래서 기아에서 인턴으로 일할 기회가 찾아왔을 때 결코 놓치지 않겠다고 생각했죠. 기아 퓨처 디자인실에서 인턴을 하면서 그로잉카의 개념을 정의하고, 커뮤니티 성장의 매개체로 모빌리티를 재해석했어요. 최근 들어 교통은 종종 사람들의 생활권을 분리하고 자원의 불균등한 분배와 불평등에 관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저는 가까운 미래에 모빌리티가 서로의 삶을 떨어뜨리기보다 사회적으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했어요. 그 결과인 그로잉카는 공간에 대한 이웃의 사회적 요구와 변화에 대응하면서 사회적 성장을 촉진하는 ‘살아있는 기계’를 의미해요. 최종 단계에서는 커뮤니티의 건전한 성장을 촉진하는 핵심 요소가 어떤 모습이고,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시스템 개념을 정립하고, 그 비전을 특정하는 구성 요소를 현실화하는 프로토타입을 분석하는 전략을 짰습니다. I’m Bowen Zhou, I design digital experiences to empower this hope and exhilaration for living in others. Before interning at Kia, I studied industrial design and sculpture at RISD. There, I led a team to deliver augmented reality software to NASA, created future cityscapes for Hyundai Motors, and worked on the ground software team at Brown Space Engineering. I loved every second at Hyundai Motors. It’s not often that we get the freedom to seriously imagine possible futures and design pathways that would bridge us there. It was also amazing that I got to design with feedback com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world! Needless to say, when there was an opportunity to intern at Kia, I jumped on the wagon. During my internship at Kia Future Design team, I defined the concept of the “growing car” and reimagined mobility as an agent for community growth. Current transportation often separates living zones and causes unequal resource distribution and inequality. My design proposed a near future where mobility serves a community function by creating social sustainability instead of segregating lives. In this proposal, a “growing car” is defined as a living machine that promotes social growth by responding to the changing spatial social needs of the neighborhood. My final deliverables were the mission strategy which breaks down key elements we need to focus on to promote healthy growth in a community, a system concept for what a “growing machine” could look like and how they can interact with one another, and physical prototypes that materialize specific components of the vision.
우리가 모르는 한식의 세계
셰프 권우중
The Unknown World of Korean Food — Woojoong Kwon, Chef
한식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권숙수’의 오너 셰프, 권우중. 유명 이북 음식점을 운영한 외가(外家)의 손맛을 이어받은 한식 요리사, 대기업 소속 한식 레스토랑 총괄 셰프, 그리고 지금 미쉐린 2스타 레스토랑 셰프에 이르기까지 그를 설명하는 다양한 수식어가 존재합니다. 《기아 디자인 매거진》은 철학을 담아 한식에 몰두하는 창작자의 모습에 주목했습니다. 한식의 고급화를 지향하는 권우중 셰프에게 고급문화란 그저 값비싼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인간으로서, 창작자로서의 예술혼이 담긴 문화죠. 그는 우리 먹거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조명받지 못했던 전통문화를 재해석해 독특하고 아름다운 음식으로 창작합니다. 권우중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한식 셰프다. 이북 요리에 일가견이 있는 집안에서 태어나 한식을 맛보고, 배우며 자랐다. 경희대학교 조리학과를 졸업한 뒤, 웨스턴 조선 서울에서 요리사로서의 첫 커리어를 시작했다. 이후 일본과 뉴욕의 레스토랑에서 헤드 셰프로 일하며 선진 미식 문화를 접했고, 세계 속 ‘한식’의 현실을 마주했다. 한국으로 돌아온 권우중은 CJ푸드빌 한식 총괄 셰프로 R&D를 지휘하면서 ‘이스트빌리지’의 오너 셰프로 활동했고, 이때의 경험과 시행착오를 발판으로 2015년 한식 파인다이닝 레스토랑 ‘권숙수’를 열었다. 궁중에서 음식을 담당하는 남성 전문 요리사를 뜻하는 ‘숙수(熟手)’라는 명칭을 레스토랑에 차용한 그는 열렬히 꿈꿔온 한식의 고급화를 추구하며 한국에 처음으로 도입한 ‘미쉐린 가이드 서울 2017’에서 2스타를 받았고, 이후 7년 연속 그 명성을 지키고 있다. 2016년 세계 최고 요리 행사 ‘마드리드 퓨전’에서 우리나라를 대표해 한식을 소개했고, 청와대 국빈 행사 자문역을 맡은 바 있다. Woojoong Kwon is the chef-owner of the Korean fine dining restaurant Kwonsooksoo. There are any number of ways to describe Kwon, from a Korean chef who inherited the skills of his mother’s family that ran a famous restaurant specializing in North Korean dishes, to the head chef at a Korean restaurant belonging to a large company, to now a chef of a restaurant with two Michelin stars. Kia Design Magazine wanted to shine the spotlight on a creator who immerses himself philosophically in Korean food. For Chef Kwon, who aims to upgrade Korean food, luxury culture does not just mean something expensive. Rather, it is a culture inspired by the artistic spirit of a human being and of a creator. Based on his deep understanding of Korean food, Chef Kwon is not only reinterpreting a traditional culture that, to date, has not been illuminated very much but is also creating uniquely beautiful food. Woojoong Kwon is one of the most noteworthy Korean cuisine chefs who best represents Korea. Born into a family with experience in cooking North Korean dishes, Kwon grew up tasting and learning all about Korean food. After graduating from Kyung Hee University’s Department of Culinary Science, he started his career as a chef at the Westin Chosun Seoul. He then worked as the head chef at restaurants in Japan and New York, experiencing advanced culinary cultures and seeing for himself the reality of Korean food around the world. After returning to Korea, Kwon led R&D efforts as CJ Foodville’s Korean food executive chef and worked as a chef-owner at a restaurant named East Village in Seoul. Using that experience and trial-and-error approach from those days as a stepping stone, he opened the Korean fine dining restaurant Kwonsooksoo in 2015. He adopted the name “sooksu,” a term given to a male specialty chef in charge of the kitchen at the royal court, for his restaurant. After passionately pursuing the enhancement of Korean food for some time, he was awarded two stars in the MICHELIN Guide Seoul 2017, the first time the world-famous restaurant guide was published in Korea, and has maintained that reputation for seven consecutive years. In 2016, he represented Korea and introduced Korean food at Madrid Fusion, the world’s top culinary event. He has also served as a consultant for state guest events at the Blue House.
시대를 읽는
예술적 균형감
An Artistic Sense of Balance in Reading the Times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동시대의 새로운 한복을 선보이는 단하주단의 한복 디자이너 단하. 깊이 있고 디테일한 리서치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콘셉트와 스토리를 선보이는 민주킴의 패션 디자이너 김민주. 한국적인 것을 세계적인 것으로 표현하는 두 디자이너의 예술적 균형감에서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의 통찰을 엿볼 수 있습니다. 단하는 전통을 새롭게 해석한 한복으로 주목받는 한복 디자이너다. 2018년 단하주단을 론칭했다. 2020년 K팝 아티스트 블랙핑크가 단하주단의 옷을 입고 뮤직비디오에 출연하면서 한복에 대한 전 세계적인 관심을 끌어냈다. 2021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올해의 한복인’을 수상했고 한국바른언론인협회가 국가 위상을 높인 공로자에게 수여하는 ‘위대한 국민대상’ 및 ‘대한민국 크리에이터 대상’을 수상했다. 최근 ‘파리패션위크Paris Fashion Week’에서 한복 컬렉션을 선보이며 좋은 반응을 얻었다. 김민주는 2015년 론칭한 컨템포러리 여성복 브랜드 ‘민주킴MINJUKIM’의 창립자다. 벨기에 앤트워프 왕립예술학교를 졸업한 후 2013년 ‘H&M 디자인 어워드’에서 대상을 받고, 2014년 ‘LVMH 영 패션 디자이너 프라이즈’ 준결승에 진출했다. 2020년 넷플릭스에서 방영한 글로벌 패션 서바이벌 프로그램 〈넥스트 인 패션Next in Fashion〉에서 우승하며 세계적인 디자이너로 떠올랐다. 2021년 대한민국패션대상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Breaking with stereotypes from the past, Danha, the hanbok designer at Maison Danha, has come up with a new hanbok for today’s world. Minju Kim, a fashion designer at the brand MINJUKIM, offers original concepts and stories based on detailed, in-depth research. Through the artistic balance of these two designers, both of whom express Korean things in a global way, we are given a unique glimpse into the wisdom behind KIA’s “Opposites United” philosophy. Since launching Maison Danha in 2018, Danha has been garnering a lot of attention with her new interpretation of tradition as a hanbok designer. In 2020, K-pop artists BLACKPINK appeared in a music video wearing outfits from Maison Danha, drawing worldwide interest in hanbok. In 2021, she was selected as the Hanbok Person of the Year, a commendation given out by the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cently, Danha showed her hanbok collection at Paris Fashion Week, and received favorable reviews from many people and media outlets. Minju Kim is the founder of a contemporary womenswear brand launched in 2015 called MINJUKIM. After receiving her master’s degree at the Royal Academy of Fine Arts Antwerp in Belgium, she won the 2013 H&M Design Award, and was shortlisted for the LVMH Prize for Young Fashion Designers in 2014. In 2020, Kim was named the winner of Netflix’s reality show and fashion design competition Next in Fashion, emerging as an internationally renowned designer. A year later, in 2021, Kim won a commendation from the Minister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t the Korea Fashion Awards.
한류 3.0
이후의 한류
Hallyu after Hallyu 3.0
영국 런던에 위치한 빅토리아 앤 알버트 뮤지엄(이하 V&A)에서 의외의 전시가 열리고 있다. 이름부터 그 취지가 선명한 《한류 1)! 더 코리안 웨이브Hallyu! The Korean Wave》다. V&A는 1851년 만국박람회의 성과를 기념하며 설립한 뮤지엄이다. 그 역사가 증명하듯 장식미술, 디자인, 퍼포먼스 등에 집중해 인류학적 관점으로 유물을 수집, 보존, 전시하는 유구함을 자랑한다. 이런 역사적 배경과 명확한 지향점을 가진 뮤지엄에서 ‘한류’를 주제로 전시를 기획했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물음표가 한 가득 떠올랐다. “현재 진행형의 흐름인 한류가 어떻게 V&A의 전시 주제가 될 수 있었을까? 한류가 전시할 만큼의 실체를 가진 것이었단 말인가?” 이런 질문의 바탕에는 어쩌면 한류에 관해 어딘가 모르게 어색하게 느껴왔던 마음이 있었는지도 모른다. 이따금 뉴스를 통해 들려오는 한국영화, 감독, 배우의 해외 수상 소식, 국내에서 제작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에 대한 국제적인 열광, K팝 아티스트의 폭발적인 인기까지, 소위 ‘국위선양’이라고 좋아할 만한 소식은 왠지 가깝고도 멀게 느껴졌던 게 사실이다. 지난 9월 ‘프리즈Frieze’ 아트 페어가 서울에 성공적으로 론칭하고, 해외 유명 갤러리가 줄지어 서울 지점을 내는 등 세계 미술계에서도 한국이 부쩍 주목받는 것을 체감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류는 손에 잡히지 않는 단어였다. 그래서 더 궁금했다. 한국인이 아닌 이들이 한국이 아닌 곳에서 열리는 전시를 통해 한류를 어떻게 해석하고 있을까.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V&A) is holding an unexpected exhibition, Hallyu! 1)The Korean Wave, and one which clearly reveals its purpose through its title. The V&A is a museum that was established as the “Museum of Manufactures” in 1852, commemorating the achievement of the 1851 World’s Fair in London. Since then it has boasted a distinguished history of collecting, preserving, and exhibiting artifacts from a cultural and anthropological perspective by focusing on decorative art and design. As soon as I heard that this exhibition was planned under the theme of “hallyu”—and at a museum with such an acclaimed background and with a clear goal in mind—many questions came to mind, including “How could the presently ongoing trend of hallyu be the subject of an exhibition at the V&A?” as well as “Does that mean hallyu has enough substance to it for an entire exhibit?” Perhaps there was a feeling of awkwardness about hallyu driving these questions. It is true that so-called “national prestige enhancing” news, such as the occasional news of Korean films, directors, and actors winning awards abroad, international enthusiasm for locally produced Netflix original dramas, and the explosive popularity of K-pop artists, felt both close and distant to me at the same time. After the Frieze Art Fair was successfully launched in Seoul in September 2022, a number of famous overseas galleries opened branches in Korea’s capital city. As such, it was clear that Korea had gained more recognition in the global art world, yet hallyu remained a concept that Koreans could not fully wrap their heads around. That is why I was so curious about how non-Koreans would interpret hallyu through an exhibition held outside of Korea.
외장 디자이너 쉬제밍.
그의 다양한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Senior Exterior Designer Xu Zheming. Hear his various stories.
제 이름은 쉬제밍입니다. 기아 상하이 어드밴스드 디자인센터에서 시니어 외장 디자이너를 맡고 있습니다. 상하이에 있기 전에는 기아 유럽 디자인센터에서 7년 동안 일했어요. 거의 10년간 해외에서 살다 보니 고향과 문화가 정말 그립더라고요. 그래서 상하이에서 일해보지 않겠냐는 회사의 제안에 YES라고 명확하게 말했답니다. 제가 맡은 업무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아요. 첫 번째는 중국 시장의 동향을 조사하고 분석해서 미래 중국 시장에 어울릴 만한 프리미엄 제품 안을 설계하는 거예요. 일종의 실험이나 사전 연구라고 할 수 있죠. 두 번째는 디자인 스튜디오의 역할이에요. 상하이에 있는 기아 디자인센터도 기아의 글로벌 제품 디자인의 모든 과정에 참여합니다. 그래서 다른 지역의 디자인 센터와 선의의 경쟁과 협력을 지속하며 자동차 외관 디자인 개발에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OU는 디자이너가 기아 브랜드를 위해 함께 일하고 생각하는 지침을 제공한다고 생각해요. 디자이너는 각자 자신만의 아이디어와 취향을 가지고 있죠. 그래서 이들의 제안을 통합하고 적절한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이 매우 중요합니다. 기아의 고객에게 명확한 브랜드 이미지와 정체성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디자이너 또한 기아만의 디자인 철학을 구축할 필요가 있어요. My name is Xu Zheming, and now I am working in Kia Shanghai advance design center as an exterior Designer. Before I started working in Shanghai, I had 7 years working experience in Kia Europe Design Center. As a Chinese person, after almost 10 years living abroad I really miss my hometown and culture, So when the company offered me a chance to work in Shanghai, I had a very clear answer. I think the idea of “opposites united” offers designers a guide to work and think together for the Kia brand, when every designer has their own idea and taste, how to unified all the proposals or help us make design selection is very important. We want Kia design to deliver a very clear brand image and identity to our customer, so we need to build up our own design philosophy. My work includes two main parts. One is researching and analyzing Chinese market trends to design some advanced product proposal about the future Chinese market. It is more like an experiment or advanced study. On the other side as a design studio, Shanghai design center participates in the Kia globe product design process, cooperating or competing with other studios to develop the exterior of Kia cars.
군더더기 없이 단순한 웃음
웹툰 작가 나승훈
The Universal Appeal of a Simple Laugh — Seunghoon Na, Webtoon Artist
《기아 디자인 매거진》은 ‘웹툰계의 초통령’으로 불리는 나승훈 작가를 만났습니다. 스토리 작가 신태훈과 함께 13년째 연재 중인 〈놓지마 정신줄〉은 병맛, 일상, 판타지, 블랙 코미디, 옴니버스 장르를 아우르는 독특한 웹툰입니다. 그가 구사하는 단순하고도 선명한 유머는 기아 디자인 철학 ‘오퍼짓 유나이티드Opposites United’를 지탱하는 다섯 개의 기둥 중 하나인 ‘이유 있는 즐거운 경험(Joy for Reason)’을 떠올리게 합니다. 그가 펼치는 유머의 미니멀리즘과 K콘텐츠로 각광받는 웹툰의 세계를 나란히 살펴봅니다. ‘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과 ‘카툰Cartoon’, 즉 웹과 만화를 결합한 ‘웹툰Webtoon’은 한국어 고유명사다. 인터넷 보급이 활발하던 2000년에 들어 천리안에서 만든 조어에 기반을 두고 있다. 밀레니엄을 기점으로 출판 만화 시장은 빠른 속도로 웹툰 플랫폼으로 전환했다. 출판사에서 주최하는 공모전이 거의 유일한 데뷔 루트였던 시대에 마땅한 플랫폼 없이 홀로 만화를 그리던 작가들은 자신의 블로그를 신규 플랫폼 삼아 만화를 올리며 온라인 계정의 닉네임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이때가 불과 20여 년 전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지금 한국의 웹툰 시장은 눈부시게 성장을 거듭 중이다. 잠깐의 여유 시간과 인터넷에 접속할 기기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 웹툰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애니메이션, 드라마, 영화, 게임으로 각색되어 세대와 국가를 가리지 않고 인기를 누리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콘텐츠 접근성과 다른 장르와의 연계 및 확장가능성이 유연한 웹툰은 이제 명실공히 한류의 최전방에 선 영역 중 하나가 되었다. 나승훈은 웹툰 작가다. 국민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에 재학 중이던 2009년부터 네이버웹툰에 연재를 시작한 웹툰 〈놓지마 정신줄〉은 지난 2019년 시즌 2를 마무리하며 지금까지 29억 뷰에 달하는 누적 조회수를 달성했고, 2022년 11월부터 시즌 3 연재를 재개했다. 동명의 애니메이션과 웹드라마로 만들어졌고, 학습 만화 시리즈 『놓지 마 과학!』은 현재 17권까지 발행돼 판매 부수 100만부를 돌파했으며 『놓지 마 초등 영단어』, 『놓지 마 어휘』 등으로 영역을 확장 중이다. 나승훈 작가는 자신의 인스타그램 계정(@artist.naseunghoon)을 통해 짧고 굵은 재미를 선사하는 인스타툰도 부지런히 선보이고 있다. Kia Design Magazine recently met up with Seunghoon Na, the cartoon artist affectionately referred to as the “president of the webtoon world for elementary students.” Hanging On! (“Nochima Jeongsinjul” in Korean), which he has been serializing for 13 years with story writer Taehoon Shin, is a unique webtoon (Korean online cartoon) that encompasses the bizarre as well as everyday life, fantasy, and black comedy, all of which is presented in a unique episode-oriented omnibus style. His clear, simple humor reminds many of “Joy for Reason,” one of the five pillars in support of Kia’s design philosophy “Opposites United.” Let’s take a look at “President” Na’s minimalist humor and the world of webtoons, which is currently in the K-content spotlight.